지난해 서울 시내의 한 스타벅스 매장 앞으로 시민이 걸어가고 있다. /뉴스1

이르면 12월부터 스타벅스에서도 기프티콘에 적힌 금액보다 싼 음료를 살 수 있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스타벅스의 선불충전금 잔액 규모가 3000억원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투썸플레이스 잔액의 50배를 넘는 규모다.

4일 국회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2분기 말 기준 스타벅스의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충전 금액에서 사용 금액을 뺀 값)은 3180억원에 육박했다. 이는 투썸플레이스(62억8000만원)의 51배, 이디야(2억8400만원)의 1120배에 육박하는 수치다. 스타벅스의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은 2019년 말 1292억원에서 2020년 말 1801억원, 2021년 2503억원에 이어 지난해 말 2983억원 등으로 해마다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엔 카카오 선물하기로 거래된 커피·케이크 교환권과 같은 ‘물품형 상품권’은 포함되지 않았고, 1만원·5만원짜리 등 ‘금액형 상품권’ 잔액은 포함됐다.

스타벅스는 다른 커피 프랜차이즈와 비교해 선불충전금 규모가 압도적으로 많고, 점포 수도 전국에 1800개가 넘어 상품권 수요까지 많았다. 그럼에도 스타벅스 ‘카페라떼’ 기프티콘을 선물받은 사람은 이보다 싼 ‘아메리카노’는 잔액이 남아 쓰지 못했다. 억지로 추가 구매를 유도해 소비자 불만이 이어진 것이다. 그러나 스타벅스는 최근 올해 국정감사를 앞두고 “오는 12월까지 상품권 금액보다 저렴한 상품으로 교환 후 잔액이 발생하면 이를 스타벅스 카드에 보전해주는 방안을 개발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