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 연합뉴스

3주 뒤 미국에서 강제 퇴출될 위기에 놓였던 중국 숏폼 앱 ‘틱톡’이 시간을 벌게 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자신이 취임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시간을 더 달라고 법원에 요청했기 때문이다.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17일 연방대법원에 ‘틱톡 금지법’의 시행 정지를 요청하는 의견서를 냈다. 이 법은 미국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중국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틱톡의 미국 내 사업을 매각하도록 하고 있다. 매각하지 않으면 1월 19일 미국 내 서비스를 중단해야 한다. 트럼프 당선인은 기한 하루 뒤인 20일 정식 취임한다.

트럼프 당선인의 변호인 존 사우어는 법원에 제출한 의견에서 “법원이 본안 내용을 고려하는 동안 법에 규정된 2025년 1월 19일 매각 시한의 효력 정지를 고려할 것을 정중히 요청한다”며 “이는 출범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부에 이 소송에서 다투는 쟁점의 정치적 해결을 추구할 기회를 허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의 해결 의지도 강조했다. 그는 의견서에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현재 미국에서 틱톡을 금지하는 것에 반대하고 있으며 취임 후 정치적 수단을 통해 관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당선인 만이 플랫폼을 구하면서 정부가 표현한 국가 안보 우려를 풀 수 있는 해결책을 협상할 수 있는 완벽한 협상 전문성과 유권자의 명령, 정치적 의지를 보유하고 있다”고도 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2020년 첫 임기에 틱톡 금지를 시도한 적 있지만, 올해 대선에서는 틱톡에 우호적인 입장으로 돌아섰다. 실제 당선 직후 추쇼우지 틱톡 최고경영자(CEO)는 트럼프 당선인을 만나 지난 16일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자택이 있는 플로리다주 마러라고를 방문해 트럼프와 회동했다. 회동 당일 트럼프 당선인은 기자회견에서 “틱톡에 따뜻한 감정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