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 /AFP 연합뉴스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 /AFP 연합뉴스

한미 외교차관은 1일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후 첫 유선 협의를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양국의 의지를 재확인했다. 국무부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크리스토퍼 랜도 부장관과 김홍균 외교부 1차관 간 전화 통화 소식을 전하며 “이 지역의 긴급한 안보 문제를 논의했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미국의 의지를 강조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정부 출범 후 한미는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한반도 비핵화’가 아닌 ‘북한 비핵화’란 표현을 쓰기로 했다. ‘한반도 비핵화’가 한국의 잠재적 핵무기 보유 또는 미 전술핵의 한반도 재배치까지 배제하는 포괄적 개념이라면, ‘북한 비핵화’는 북한의 핵무장 해제를 더 강조하는 측면이 있다. 바이든 정부가 두 가지 표현을 혼용했던 것과 달리 트럼프 정부는 현재까지 공식 문서에서 북한 비핵화란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간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비가역적인 비핵화)’는 북한이 가장 민감해하는 표현 중 하나다.

국무부는 “두 사람이 에너지 문제에 관한 경제 협력 기회와 미국 산업에 대한 한국의 투자 증가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는 알래스카주(州) 액화천연가스(LNG) 가스관 사업과 관련해 유망한 파트너로 한국·일본을 콕 집어 언급했고, 최근에는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가 방한해 한덕수 국무총리 권한대행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정·재계 인사들을 두루 훑고 갔다. 던리비는 조만간 방한(訪韓) 결과를 백악관에 브리핑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차관은 2일 예정된 상호 관세 부과 등으로 “양국 간 경제 협력에 장애가 초래되선 안 될 것”이라 했다.

국무부는 랜도 부장관이 이날 “한국 남동부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비극적인 피해에 대해 진심으로 애도의 뜻을 표했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지난달 27일 태미 브루스 대변인 명의로 된 성명에서 “미국은 이 어려운 시기에 동맹국과 함께할 것”이라며 “주한미군도 화재 진압, 피해 지역 지원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한미는 3국 협력 지속 차원에서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를 조기에 개최하고, 상호 편리한 시기에 만나 심도 있는 양자(兩者)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