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부터)김택우 의협회장, 주수호 전 의협 비대위원장, 임현택 전 의협회장, 박단 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
(왼쪽 부터)김택우 의협회장, 주수호 전 의협 비대위원장, 임현택 전 의협회장, 박단 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

지난해 2월 의정 갈등 사태가 시작되자 의대생들은 동맹휴학으로 정부와 맞섰다. 그러는 사이 졸업이 늦어졌고, 저마다의 계획이 무산됐다. 사직 전공의도 마찬가지다. 수련하지 못한 채 적게는 300만원을 받으며 피부과 등에서 일했다. 일부는 생활고에 시달리기도 했다.

그런 1년을 보낸 뒤 복귀하는 의대생들에게 ‘의료계 강경파 선배’들의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사직 전공의 대표인 박단(대한의사협회 부회장)씨는 지난 28일 소셜미디어에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라며 복귀하는 의대생들을 향해 일침을 날렸다. 그는 지난 1년간 소셜미디어에 정부와 교수들을 비판하는 글을 수없이 써왔는데, 이젠 복귀하는 의대생들도 비난한 것이다.

하지만 정작 이런 선배들이야말로 팔 한 쪽도 내놓지 않았다. 정부를 비판하는 말만 늘어놓으며 의대생과 사직 전공의를 묶어둔 채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이다. 서울 한 의대 학생은 “박씨는 우리보고 ‘팔 한 짝도 안 내놨다’고 했는데, 우리는 황금 같은 1년을 허송세월했으니 손가락 하나는 내놓은 셈”이라면서 “선배들은 무엇을 희생했나”라고 말했다.

​의료계 법정 단체인 대한의사협회도 마찬가지다. 의협은 의정 갈등 내내 “정부의 의료 개혁 방안이 국민에게 피해를 끼친다”며 반대하면서도 제대로 된 대안이나 협상안은 내놓지 못했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지난 1월 취임한 후 “지금 이 상태로는 도저히 의대 교육이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며 의대 교육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고 강조해 왔다. 그런데 지금까지 구체적인 대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정부 정책을 강하게 비판해 온 임현택·주수호 전 의협 회장도 마찬가지다.

의사 면허도 없는 의대생들을 앞세우고, 휴학을 사실상 강요해 왔던 여러 선배는 계속 일하며 돈을 벌고 있다. 주 전 회장도 한 병원에서 봉직의로 일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