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견기업 절반은 불확실한 시장 상황과 악화된 경영 실적 등으로 올해 투자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21일 ‘2025년 중견기업 투자 전망 조사’ 결과를 발표해, 올해 중견기업의 50.4%가 투자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조사 대비 8.7%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11월 18일부터 12월 2일까지 중견기업 8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응답 기업들은 불확실한 시장 상황(38.2%)과 경영 실적 악화(19.6%) 등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중견련은 “급격한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한 우려에 크게 기인한 것으로 확인됐다”라고 설명했다.
투자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나머지 중견기업(49.6%) 중에서도 전년 대비 투자 규모를 늘리겠다고 밝힌 중견기업은 41.5%에 그쳤다. 전년 수준으로 유지(35.8%), 줄일 것(22.7%)이라는 응답이 절반을 상회했다.
올해 투자 감소를 전망한 중견기업들은 ‘내수시장 부진(40.0%)’, ‘경기 악화 우려(24.4%)’, ‘생산 비용 증가(10.0%)’ 등을 주된 요인으로 지목했다.
투자 목적은 ‘기존 설비 개·보수(33.8%)’가 가장 많이 꼽혔고, ‘공장 신·증설(20.1%), ‘R&D 투자(19.9%)’, ‘친환경·ESG 투자(7.3%)’, ‘디지털 전환 투자(6.8%)’ 등 순이었다.
중견련 관계자는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등 불투명한 올해 글로벌 경제·정치 판도에 대한 유보적인 전망 아래, 생산 체계 고도화 및 첨단 기술 개발, 인력 양성 등 장기적인 경쟁력 강화에 가용한 자원을 투여한다는 판단이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