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엔지니어가 포스코ICT가 개발한 굴뚝원격감시(TMS) 솔루션을 조작하고 있다. /포스코ICT

포스코ICT가 산업현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매연 등 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하는 굴뚝원격감시 솔루션(TMS)을 개발하고 사업화에 나섰다고 4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 오염물질의 양과 농도를 24시간 자동 측정하고 이를 환경부 산하 전국 4개 권역 관제센터로 전송한다.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염화수소, 불화수소 등을 측정해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사이트를 통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식이다.

환경부는 2024년까지 권역별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를 33% 줄이는 것을 목표로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을 입법해, 지난 4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먼지 배출량이 연간 80톤을 초과하는 사업장은 총량관리사업장으로 지정되고, 모든 배출 굴뚝에 의무적으로 원격 감시 시스템을 부착해야 한다.

포스코ICT는 이 시장을 노리고 자료수집기(데이터 로거)와 자료전송장치(FEP)로 이뤄진 솔루션을 선보이는 것이다. 자료수집기에서는 굴뚝에서 배출되는 다양한 오염물질의 농도를 5초마다 수집하고, 이를 자료전송장치가 환경부 관제센터 등에 전송해 원격으로 오염물질 배출 상태를 관리한다.

현재 포스코ICT는 이 솔루션을 포스코 제철소에 구축하고 있다. 포스코ICT는 “정유 및 화학, 발전소 등 다양한 산업시설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