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대표적인 먹는샘물인 ‘제주삼다수'의 수원(水源)이 한라산 국립공원 해발 1450m 이상 지대에서 시작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주도개발공사는 1일 제주삼다수에 사용되는 물의 생성 지역은 제주시 조천읍 삼다수 취수원(해발 440m) 보다 약 1000m 높은 해발 1450m 이상의 한라산 국립공원 진달래밭 대피소(1475m) 인근 지대로, 오염 요소 등 인위적 영향이 거의 없는 곳이라고 밝혔다.
제주도개발공사 관계자는 “제주삼다수는 한라산 해발 1450m 이상 지대에 내린 빗물이 천연필터인 화산흙(송이층)에 약 18년 이상 불순물이 걸러져 별도 정수 과정이 필요 없을만큼 원수 자체가 깨끗하고 우수하다” 며 “부드럽고 건강에 좋은 미네랄이 약알칼리성 화산암반수에 스며들어 있다”고 말했다.
제주개발공사는 ‘제주삼다수의 근원’을 찾는 이번 연구에 국내외 지하수 유동연구에서 가장 신뢰도 높은 ‘산소-수소 안정동위원소 기법’을 동원해 4년간 진행했다. 이 연구에는 윤성택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팀이 참여했다.
윤 교수는 “제주 삼다수의 기원과 함양 지역을 명확히 밝혀 청정성을 증명한 과학적 성과”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제주삼다수 유역의 지하수 함양 특성 연구’라는 제목으로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논문집(6월호)에 게재됐다.
김정학 제주도개발공사 사장은 “이번 연구로 삼다수가 천혜의 청정 자연에서부터 생산됐고, 물맛이 우수한 이유가 과학적으로 증명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믿고 마실 수 있도록 수원지 관리와 제주 지하수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