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애 환경부 장관(왼쪽)이 지난 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 추진현황 및 주요 환경 현안과 관련한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지난달 대체 매립지 공모가 불발된 수도권 매립지 문제에 대해 “플랜B는 고민하지 않고 있다”며 “상반기 내 어느 정도 가닥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지난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3개 시도(서울·인천·경기) 간 추가 공모를 하자는 합의가 있었다”며 “절차가 곧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장관은 “이미 3개 시도 단체장을 만나 협의를 해서 문제를 정리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도 했다.

현재 수도권 폐기물은 인천시 서구에 있는 3-1매립장(103만㎡)에서 소화하고 있다. 하지만 작년 10월 인천시는 이 매립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는 2025년부터는 서울·경기 폐기물을 더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2015년 환경부·서울시·인천시·경기도는 ‘3-1매립장 포화 때까지만 사용하고, 대체 매립지가 확보되지 않으면 3-2매립장을 추가 조성한다’는 4자 합의를 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서울시·경기도는 지난 1월 14일부터 지난달 14일까지 90일간 대체 매립지 입지 후보지를 공모했다. 하지만 참여한 지자체가 없었다. 수도권 지자체들이 매립지 선정 문제를 빨리 해결하지 않으면 2025년에는 쓰레기 대란이 발발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한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수도권 3개 시도와 환경부는 4자 협의를 존중하며 반입량 감축을 위한 공동 노력 및 각자 폐기물을 스스로 처리하는 노력도 병행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대체 매립지 추가 공모의 특별 인센티브는 2500억원으로 1차와 동일하지만, 170만㎡에서 100만㎡로 면적을 줄였고, 일부 건설 폐기물을 받지 않는 조건을 넣는 등 더 많은 혜택을 주려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 장관은 고갈이 우려되는 전기차 보조금 문제에 대해서는 “조기 소진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전기차 보조금이 국비와 지방비 매칭이라 지방에서 적절히 매칭하지 않으면 잘 진행이 안 될 수도 있지만 지자체들이 추경으로 예산 편성하는 하반기가 되면 정상적으로 매칭이 될 것”이라고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차 승용차는 올해 7만5000대분의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고, 현재까지 업계 등은 7만대가 보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절대량이 부족하지는 않다”며 “실제 공고도 현재 4만6500대이고 신청은 1만대, 집행은 7600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