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품귀 사태를 빚은 요소수와 관련,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전환해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실험한 결과 당장은 사용이 힘들다는 결론을 내렸다.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전환해도 대기오염물질 규제 기준은 충족하지만, 대체 요소수를 사용했을 때 발생할 환경적 영향이나 차량 관리 문제 등에 대해선 구체적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이같은 실험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이번 실험은 중국산 요소 수입이 최근 중단됨에 따라 2016년 이후 제작·수입된 경유차가 운행하기 어려워진 데 따른 것이다. 이들 차량은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질소산화물 환원촉매장치(SCR)가 설치돼 있어 차량용 요소수를 주입해야만 운행할 수 있다. 비교적 수입된 양이 많은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는 취지였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제철소, 화력발전 등에 쓰이는 비차량용 요소를 차량용 요소수(요소 농도 32.5% 내외)에 맞도록 제조한 시료를 6개 만들고, 이가운데 중상 수준의 알데히드 농도를 가진 시료 2종을 각각 배기량 2500cc급 경유 화물차에 주입, 주행시 배출가스가 오염물질 배출 기준을 충족하는지 이달 2일부터 11일간 검토했다.
배출가스를 분석한 결과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등 모든 대기오염물질 규제 기준이 충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중에 판매 중인 차량용 요소수와 비교해 대기오염물질 배출 농도도 대체로 비슷한 것으로 파악됐다. 독성 물질인 알데히드의 경우에만 1번 시료는 차량용 대비 7.9% 감소했고, 2번 시료는 19.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에 대해 요소수 제조업체, 자동차 제작사, 대기환경 전문가들은 산업용 요소수의 차량용 전환에 따른 환경적 영향과 차량의 질소산화물 환원촉매장치에 미치는 안전성 등을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추가 시험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또 산업용 요소수의 경우 제조 목적에 따라 성분 함량에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성분 함량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내놨다.
이에 따라 국립환경과학원은 알데히드 농도가 더 낮은 시료 2종과 다른 시험 차종 등을 추가해 기술 검토를 진행할 예정이다. 추가 실험 결과는 다음주 중으로 나올 예정이다. 다만 전환 요소수 사용은 추가 실험과 정책적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해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은 “과학원은 환경과 안전에서 타협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이번 실험은 단기간에 급박하게 진행된 만큼 한계가 있어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며 “전환이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오더라도 정부에서 전환한 요소수를 차량에 사용할 때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별도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