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은 �어요”를 노래하는 찹쌀떡 장수, 주인공의 감방 동료, 장발 단속하는 경찰, ‘3㎝ 춤’을 추는 조폭 보스, 목사님, 여간호사, 중국집 배달원, 동네 할머니…. 단 한 명의 배우가 이렇게 여러 배역을 가로지르는데, 관객의 환호성과 박수를 다 들어줄 틈이 없다. 얼른 다음 인물로 건너가야 하니까. 대학로 사다리아트센터에서 공연 중인 뮤지컬 ‘샤인(Shine·연출 김달중)’에서 최재웅(29)이 맡은 ‘M’이다. M은 ‘멀티맨(multi-man)’의 약자. 100분짜리 공연에서 모두 스물두 개의 가면을 갈아쓰는 최재웅은 “잘못하면 ‘캐릭터 쇼’처럼 비쳐질 수 있어 이야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요즘 소극장 뮤지컬에 멀티맨이 흔하다. ‘멀티맨 있는 뮤지컬과 없는 뮤지컬’로 나뉜다고 할 정도다. ‘샤인’을 비롯해 ‘김종욱 찾기’ ‘오! 당신이 잠든 사이’ ‘미스터 마우스’에 멀티맨이 등장하고, 12월 두산아트센터에서 국내 초연할 ‘아이 러브 유 비코즈’에서도 멀티맨을 만날 수 있다. 배우 전병욱은 ‘김종욱 찾기’에 멀티맨으로 출연해 스타가 되기도 했다.
20평 남짓한 무대에서 60명 넘는 사람(배역)들을 보여준 ‘아이 러브 유’는 소극장 뮤지컬에서 멀티맨의 성공 모델이었다. 남녀 관계의 오르막과 내리막을 두루 훑은 이 로맨틱 코미디는 2004년 말 한국에 상륙, 배우 4명이 벌이는 60여 개 배역 잔치로 주목 받으며 2년 넘게 흥행했다. 2005년엔 ‘더 씽 어바웃 멘’에서 주인공이 아닌 배우 김경선이 절묘한 다역(多役) 연기로 이름을 알렸다.
첫사랑 찾기라는 달콤한 소재를 뽑아낸 ‘김종욱 찾기’는 많게는 25역을 하는 멀티맨의 변신으로 인기를 누렸다. 지난해 월드컵 기간에도 끄떡없이 흥행한 이 뮤지컬은 올 겨울 시즌3까지 나왔다. 바텐더→인도인 여행 가이드→다방 여종업원→할머니→스튜어디스→젠틀맨 등 멀티맨의 숨가쁜 변신에 대해 관객은 “역시 공연의 백미는 멀티맨!” “멀티맨이 없었다면 허전했을 것 같아요”라는 평을 남기고 있다.
걱정의 목소리도 나온다. ‘아이 러브 유’ ‘아이 러브 유 비코즈’를 연출한 한진섭은 “관객에게 지루할 틈 안 주고, 소극장 무대에 다양한 인물들을 등장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전체 드라마보다 멀티맨의 쇼로만 관심이 쏠릴 수 있어 ‘잘 쓰면 약, 못 쓰면 독’이다”라고 말했다. 최재웅도 “배우로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한 배역으로 가는 게 편하다”며 “매일 ‘튀지 말아야지’ 다짐하는데 솔직히 힘겹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