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희 국방부장관은 20일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에서 해안포나 미사일 등으로 선제공격을 해올 경우 타격(발사) 지점을 공격하겠다는 원칙을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국회 남북관계발전특위 전체회의에서 북한이 장사정포나 미사일 등으로 우리 함정을 공격할 경우 대응방안을 묻는 한나라당 홍정욱 의원의 질문에 대해 "타격 지점에 분명히 대응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우리 군 최고 수뇌가 북한의 선제공격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방침을 이처럼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 장관은 "적의 미사일이 날아왔을 때 (미사일이 우리 함정을 맞히지 못하도록) 예방조치를 하는 한편 (북한이) 분명히 공격행위를 했기 때문에 미사일 발사 지점은 공격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북한의 장사정포나 미사일 발사 지점을 공격할 경우 소규모 국지전으로의 확전(擴戰) 가능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선 "전면전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군은 현장에서 가장 짧은 시간 내 적이 도발한 만큼의 대응을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확전은 방지하되 북한의 도발에 대해선 얻어맞은 만큼 단호히 대응한다는 원칙에 따른 것이다.

북한이 사곶·해주·옹진반도 등 북한 서해안의 130㎜ 해안포(최대 사정거리 35㎞)나 '샘릿''실크웜' 지대함(地對艦)미사일(사정거리 83~95㎞)로 우리 함정 등을 공격할 경우 우리 군은 1차적으로 함정의 127㎜ 함포(사정거리 23㎞)나 백령도·연평도 등에 배치된 K-9 자주포(사정거리 40㎞) 등으로 대응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