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6·25전쟁 당시 납북된 아버지를 기다리느라 70년 넘게 이 한옥을 지키고 있어요. 그런데 재개발로 이 집이 허물어진다니…."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길을 따라 걷다 보면 오래된 한옥 3채가 나란히 서 있다. 이 중 가운데 집, 검게 때가 탄 화방벽(돌 섞은 흙으로 쌓은 벽)으로 둘러싸인 1-223번지가 송병훈(88)씨의 집이다. 외풍이 센 한옥 구조 탓에 검은색 패딩점퍼에 주황색 스웨터까지 껴입은 송씨는 아버지의 옛 사진과 스크랩한 기사들을 보여주다 고개를 떨어뜨렸다. '우리 글을 자유자재로 쓸 수 잇(있)다. 언더우드 社(사)에서 製作中(제작중).' 노랗게 바랜 오래된 신문기사 조각에는 그의 아버지 사진이 실렸다.

송씨의 아버지는 공병우 박사의 한글타자기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언더우드-송기주 타자기'를 만든 송기주씨다. 당시 타자기는 자판이 복잡하고 타자 열이 고르지 않아 실용성이 적었는데, 송기주씨가 미국 유학시절 뉴욕의 타자기 제조회사 언더우드사와 함께 만든 '언더우드-송기주 타자기'는 42개의 키로 한글을 고르게 찍을 수 있어 주목받았다. 송기주씨는 시카고에 있을 때 한국 지도를 최초로 서구식 입체 본으로 떠내기도 했다. 그가 1934년 '언더우드-송기주 타자기'를 만들어 귀국했을 때 국내 지식인들이 기생집 명월관에 모여 자축 파티를 했고, 그 파티가 신문에 대서특필될 정도였다.

송병훈씨의 기억에 '아버지의 타자기'는 거의 팔리지 않았다. 당시 타자기 가격이 사무실용은 550원, 휴대용은 239원으로 '집 한 채' 값이었던 탓이다. 하지만 타자기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지식인이 송씨의 북아현동 집을 밤낮 가리지 않고 찾아왔다.

"우리 집은 북아현동에 살았던 지식인들 모임 장소였어. '자유부인'을 쓴 정비석씨, '바우고개' 작곡가 이흥렬씨도 자주 드나들었지." 송병훈씨는 현재 북아현동의 고풍스러운 한옥가를 생생히 기억하는 유일한 인물이다.

송병훈(88)씨가 아버지 송기주씨가 만든‘언더우드-송기주 타자기’를 보여주고 있다. 송씨는 70년 넘게 아버지를 기다리며 북아현동 한옥을 지키고 있다. 송씨가 살고 있 는 한옥은 곧 뉴타운 재개발로 철거될 예정이다.

한글타자기를 최초로 시장화한 공병우 박사도 이때 북아현동을 찾아 송기주 박사에게 도움을 청했다고 한다. 공병우 박사의 제자인 송현 한글문화원 원장은 "송기주 박사 귀국 후 공병우 박사가 발명권 양도를 교섭하기 위해 찾아갔으나 성사되지 못했다. 송 박사가 납북된 후 공 박사가 송 박사 방식의 타자기를 참고해 편리하게 발전시켜 시장화했다"고 말했다.

송병훈씨와 같은 동네에 살던 친구들은 모두 해방 후 이사하고 지금은 아파트 생활을 하고 있다. 북아현동 다른 한옥들은 대부분 1990년대 초반 다세대주택이나 빌라로 개조됐다. 송씨 집은 그가 연세의료원에 다닐 때 마루를 새로 깐 게 전부다.

"우리도 강남 큰 아파트로 이사할 기회가 있었어. 그런데 어머니께서 '아버지 돌아오실 때 이 집으로 찾아올 것이니 난 (이사) 안 간다. 나는 관으로 나가지 안 나간다' 그랬거든. 그런데 이제 끝난 것 같아요. 아버지가 1900년생이니 살아계셔도 100살이 넘어…."

송씨의 아버지는 6·25전쟁이 난 해 9월 17일 납북됐다. 송병훈씨는 1951년 1·4후퇴 때 어머니와 남동생을 데리고 경남 진해로 피란 갔다가 2년 후 돌아왔다. 그의 집은 인민군이 마구간으로 쓴 탓에 마룻바닥이 성한 곳이 없었다. 그럼에도 집이 망가지지 않은 건 송씨의 외할머니가 '사위가 집에 돌아올지 모른다'는 이유로 집을 떠나지 않고 지킨 덕이다. 송씨는 "인민군이 들어와 된장·고추장을 퍼먹으면 '우리 아들 딸이 먹을 건데 왜 퍼먹느냐'며 싸우고 그랬대. 그래도 노인네니까 내버려 둔 거지"라고 했다.

송씨는 불편한 재래식 부엌과 바람이 많이 드는 한옥의 구조 탓에 고생이 많지만 그래도 이 집에 머무르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그 소박한 소망은 머지않아 무너지게 됐다. 북아현동 일대가 뉴타운 개발구역으로 지정돼 곧 철거될 운명에 처했기 때문이다. 송씨는 "그저 여기를 아파트로 안 만들었으면 참 좋겠다는 바람밖에 없어. 원하는 사람은 그대로 살라고 했으면 좋겠는데…"라며 말끝을 흐렸다. 송씨의 사연은 서울역사박물관이 뉴타운 사업으로 사라지는 동네와 주민 이야기를 담아 최근 발행한 보고서에 담겼다.

신장이 안 좋아 거동이 불편한 송씨는 모아 놓은 사진·우표 등을 보며 과거의 기억을 더듬었다. 아버지가 개발한 타자기도 가끔 꺼내 본다고 한다.

"아버지가 쓰던 타자기는 인민군이 가져가고, 나는 피란길 대구의 한 구멍가게에서 같은 종류의 타자기를 발견했어. 그런데 그 타자기를 살 50만원이 없어 친구들로부터 돈을 꾸어 간신히 샀지. 이 타자기가 현재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언더우드-송기주 타자기'야." 송씨는 "이게 하나밖에 없으니 여기저기서 달라는 사람이 많은데, 내가 죽기 전에는 가지고 있을 거야"라며 '아버지의 타자기'를 쓰다듬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