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과 대화를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과 대화를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일 “중국과 24시간 내로 대화할 것”이라며 “우리가 합의하지 못하면 중국 관세는 더 올라갈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지난 1일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웃 국가인 멕시코·캐나다를 포함한 미국의 주요 교역국과 대화를 이어가겠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면 관세를 부과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했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기자들과 만나 “누구도 관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는 오전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의 통화를 통해 4일부터 멕시코에 부과할 예정이었던 25% 관세 시행을 한달 유예한다고 밝혔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는 오후 3시 통화를 통해 최후 담판을 벌일 예정이다. 이날 오전에도 트뤼도와 통화했지만 양측이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는 이날 “캐나다와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세부 사항이 관보에 게재됐다”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미국의 최대 무역 적자국인 중국에 대해서는 “아마 24시간 내로 대화할 것”이라며 “대중국 관세는 개시 사격(opening salvo)이었다”고 했다. 파나마 운하를 거론하며 “중국이 오래는 개입하지 못할 것”이라 했는데, 펜타닐·파나마 운하 문제에 대해 만족할만한 협상에 이르지 못할 경우 관세율을 높일 것이란 의미로 해석됐다. 트럼프 1기 때도 무역법 301조 등을 토대로 일부 중국산 품목에 대규모 관세가 부과된 적이 있다. 트럼프는 “더 많은 국가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좋아한다”고도 했는데, 유럽연합(EU)에 미국산 자동차와 농산물을 팔기 어려워 관세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트럼프는 전날 EU에 대해 ‘악독하다’는 표현까지 사용해가며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트럼프는 이날 재무부·상무부에 국부펀드 설립을 지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러면서 중국계 바이트댄스가 모기업인 소셜미디어 플랫폼 틱톡 매입에 이 펀드가 사용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트럼프는 취임일인 지난달 20일 의회가 지난해 통과시킨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하면서 지분의 50%를 미국측에 넘기는 방안을 제시했다. 배석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앞으로 12개월 안에 이 일(국무펀드 설립)을 추진할 것”이라며 “미국 국민을 위한 수익을 창출하겠다”고 했다. 트럼프는 국부 펀드가 규모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능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 바이든 정부 때도 국부 펀드 설립을 검토했다가 무산된 적이 있다.

한편 트럼프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지출 구조조정 같은 업무 추진 과정에서 무리한 행동으로 논란이 된 것에 대해 “일론은 우리 승인 없이 어떤 것도 할 수 없고 하지도 않을 것”이라며 “적절한 경우 승인하고 적절하지 않으면 승인하지 않겠다”고 했다. 머스크와 그의 정부 업무 간 이해 충돌에 대해서도 없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또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가 미국의 지원을 받는 대가로 희토류를 제공하기를 원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우크라이나는 매우 가치 있는 희토류를 갖고 있고, 우리는 수백억 달러 지원에 대한 담보로 희토류를 원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