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대생 복귀 마감일’로 정한 31일을 하루 앞두고 학생 복귀가 이어져 집단 휴학 1년여 만에 ‘의대 교육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상당수 의대는 복귀 의대생을 보호하기 위해 당분간은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30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빅5 병원을 부속·협력 병원으로 둔 주요 의대(서울대·연세대·가톨릭대·성균관대·울산대)는 전원 등록을 마쳤거나 전원 복귀하기로 결정했다. 연세대 의대생 1명이 등록하지 않아 제적됐고, 빅5 의대생 대부분은 등록하거나 복학 신청한 것이다. 대학가에선 “최상위 의대생은 제적되면 다시 수능을 쳐도 합격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다른 의대보다 유독 복귀율이 높은 것”이라는 말이 나왔다. 28일 등록을 마감한 충남대 의대도 전원 복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대도 전원 복귀하기로 결정했다.

등록 마감 이후 계속 복귀 문의가 이어져 대거 추가 복학 신청을 받은 대학도 많다. 경희대, 건국대, 을지대, 충북대 등은 30일 자정까지 추가 등록을 받았다.

전국 의대는 복귀하는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31일 본격적으로 수업을 시작한다. 하지만 ‘복귀 의대생 보호’를 위해 대면이 아닌 온라인 수업을 당분간 진행한다는 대학이 많다. 예컨대 서울대는 1∼2주간은 온라인 수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고려대, 한림대 등도 당분간 이론 수업은 온라인으로 한다. 한 의대 관계자는 “최근까지도 복귀한 의대생들의 신상을 공개하고 욕설을 하는 ‘집단 괴롭힘’이 있었던 만큼 학생들이 얼굴 드러내기를 두려워하고 있다”면서 “수업 참여를 독려하려면 온라인 수업을 할 수밖에 없다는 대학이 많다”고 말했다. 일부 의대는 당분간 수업 시간에 출석도 부르지 않겠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이달까지 의대생이 전원 복귀하는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31일 밤 12시를 기준으로 의대별 학생들의 복귀 현황을 집계할 예정이다.

그런데 ‘전원 복귀’ 기준을 둘러싸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 복귀’ 기준을 ‘등록’이 아니라 ‘실제 수업에 정상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삼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의대생 1명이라도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증원 0명’이 백지화되는 것이냐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이에 교육부는 “전원 복귀 기준은 대학이 판단하건대 수업이 가능한 상식적 수준이 될 것”이라고 했고, 양오봉(전북대 총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은 ‘정상 교육’을 위해선 학생이 최소한 과반 돌아와야 한다고 했다.

의대생이 복귀하는 대학이 늘자, 전국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30일 오후 입장문을 내고 “끝까지 적법한 휴학원을 지켜내지 못한 것에 크나큰 사과 말씀을 드린다. 회원들이 꿈꾸는 의료 모습을 규합하지 못한 것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느끼고 있다”며 사실상 ‘미등록 휴학’ 투쟁 유지가 불가능해진 상황을 인정했다.

그러나 여전히 ‘미등록 투쟁’ 의지를 고수하고 있는 의대도 있다. 지난 28일 등록을 마감한 인하대는 의대생(220명) 자체 투표 결과 97%가 ‘미등록’에 투표했다. 전남대 역시 전체 의대 학생 893명 중 미등록 학생이 500여 명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 대학들에선 ‘대규모 제적’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