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의 유대인 제국

조너선 카우프만 지음|최파일 옮김|생각의힘|448쪽|2만2000원


1938년 11월 나치의 탄압을 피해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탈출한 유대인 난민이 상하이에 입성한다. 처음에는 100명 남짓. 1939년 2월에 이르자 6000명 넘는 난민들이 상하이에 살게 되었고, 1939년 초봄에 이르자 1만명으로 불어난다. 1939년 8월 당시 상하이를 지배하고 있던 일본 당국은 유대인을 상하이에 더 이상 받아들이지 않을 거라 공표한다. 이때 상하이의 유대인 난민 수는 1만8000명을 기록했다. 1941년 일본의 진주만 공격 이후 상하이로 파견된 나치 대령 요제프 마이징거는 유대인들을 배에 태워 몰살하자 제안하지만, 살려두어 인질로 삼는 편이 낫다고 생각한 일본 대령 이누즈카의 만류로 목숨을 건지고 게토에 수용된다.

왜 이 유대인들은 머나먼 아시아의 도시를 망명지로 택했을까? 당시 상하이의 지배 권력이 중국 아닌 유대인이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는 월스트리트 저널, 블룸버그 등에서 30년 가까이 중국 전문 기자로 일하며 2015년 퓰리처상을 받은 조너선 카우프만. 그는 상하이에 거점을 둔 두 유대인 억만장자 가문 ‘서순(Sassoon)’과 ‘커두리(Kadoorie)’의 흥망성쇠를 통해 1차 아편전쟁이 끝난 1842년부터 공산당이 집권하는 1949년까지의 상하이를 들여다본다. 외국인 거주지인 국제 조계(租界)가 상하이의 중심이 되었던 이 시기를 중국 정부는 ‘치욕의 100년’이라 여기며 감춰 왔다. 그러나 저자는 상하이가 중국의 여타 도시와 다르게 근대화의 상징인 국제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은 중국이 치부로 여겼던 그 100년 덕이라 주장한다. 서순과 커두리가 서로 경쟁하며 상하이에 기업가 정신을 불어넣고, 화려하며 세련된 건물을 지어 유럽에 뒤지지 않는 스카이라인을 구축하며 상하이를 ‘중국의 뉴욕’이자 ‘로스앤젤레스’로 키워나갔던 것이다.

1926년의 상하이 와이탄 풍경. 이 시기 상하이 국제 조계는 기업 공화국처럼 운영되었으며, ‘근대화’와 ‘세계화’의 기점이었다. /게티이미지코리아

‘아시아의 로스차일드’로 불리던 명문가 서순과 바닥에서 시작해 서순과 대적할 만한 지위에 오른 커두리는 국민당 및 공산당 정권과의 합종연횡 전략으로 세를 불리고 부를 쌓는다. 장제스는 마오쩌둥이 이끄는 공산당 ‘비적들’과 싸우는 군대에 돈을 대기 위한 세금이 필요했고, 부동산 투자 사업을 하던 빅터 서순은 상하이로 자산을 옮기겠다는 의사를 밝혀 국민당으로부터 이득이 큰 사업을 약속받는다. 이러한 ‘제휴’ 덕에 대공황이 전 세계의 나머지 지역을 덮치는데도 빅터는 상하이에서 계속 돈을 벌었다. 상하이의 대표적인 랜드마크 중 하나인 ‘평화(Peace) 호텔’의 전신 ‘캐세이 호텔’이 빅터의 작품. 빅터는 1929년 이 호텔을 “황푸 강에서 솟아오른 아르데코 우주선처럼” 와이탄 위에 우뚝 솟도록 건설한다. 저자는 이 시기 상하이의 번영을 이렇게 요약한다. “중국 근대화와 국민당 정권의 성공으로 가는 길은 와이탄을 따라 달렸다.”(193쪽)

언론의 자유가 허용된 상하이의 조계는 공산당이 혁명을 조직하는 거점이기도 했다. 마우쩌둥과 저우언라이 모두 1920년대 국제 조계에 살며 선전활동과 혁명 선동 모임을 주최했다. 조계의 자유를 먹고 자란 공산당은 1949년 상하이를 접수한 후 자본가들을 탄압한다. 기업가들을 뇌물, 탈세, 국가 자산 절도, 편법, 경제정보 도용 등 ‘5대 악’의 표적으로 삼는다. 공산정권이 외화를 확보하기 위해 외국 기업에 막대한 세금을 부과하고, 고용인들이 노조를 결성해 임금 인상을 요구하자 버티다 못한 서순과 커두리는 홍콩으로 이주한다. 상하이의 건물은 공산 정권에 넘겼지만 커두리에게는 아직 홍콩 은행에 재산이 있었다. 중국 가까이에 있는 홍콩에서 사업을 하려면 공산정권을 완전히 적으로 돌리면 안 됐다. 커두리는 신중히 계산했다. 1989년 천안문 사태 때 다수의 서방 정부와 회사가 진압을 비판하고 거래와 투자를 중단했지만, 중국에 원자력발전소를 세울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있던 커두리는 “이 지역에서는 너무 많은 민주주의가 최선이 아니다”라며 덩샤오핑과 중국 지도부를 옹호한다.

저자는 우아하면서 정교한 글솜씨로 돈과 권력, 그를 둘러싼 욕망의 거래를 20세기 초 상하이를 배경으로 한 편의 드라마처럼 펼쳐낸다. 개방적이고 다양하며 혁신을 끌어안는 상하이와 내부지향적이고 민족주의적인 베이징의 차이점이, 중국의 힘과 영향력이 커질수록 세상을 향해 취하는 태도를 형성할 것이라 주장한다. 그리고 현재의 중국에 묻는다. “어느 길을 택할 것인가?” 원제 The Last Kings of Shangh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