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은 1일 “위원장직을 사임한 것은 거야(巨野)의 압력에 떠밀려서도 아니고, 야당이 주장하는 것처럼 정치적 꼼수는 더더욱 아니다”라면서 “오직 국가와 인사권자인 대통령을 위한 충정에서 사임하는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이 자신에 대한 면직안을 재가한 뒤, 정부과천청사 방통위 기자실을 찾아와 이같이 밝혔다.
이 위원장은 “거대 야당이 국회에서 추진 중인 탄핵 소추가 이루어질 경우 그 심판 결과가 나오기까지 몇 개월이 걸릴지 알 수 없다”며 “그동안 방통위가 사실상 식물 상태가 되고, 탄핵을 둘러싼 여야 공방 과정에서 국회가 전면 마비되는 상황은 제가 희생하더라도 피하는 것이 공직자의 도리일 것”이라고 했다.
이어 “거대 야당이 숫자의 우위를 앞세워 밀어붙이는 탄핵의 부당성에 대해선 이미 국민 여러분께서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한다”면서 “이러한 탄핵 폭주는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국정을 책임지고 있는 입장에선 대의와 대국을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국회의 권한을 남용해 마구잡이로 탄핵을 남발하는 민주당의 헌정 질서 유린 행위에 대해선 앞으로도 그 부당성을 알리고 계속 싸워나갈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께서 거야의 횡포에 대해 준엄한 심판을 내려주시리라 확신한다”고도 했다.
이 위원장은 마지막으로 “어떠한 자리에 있더라도 대한민국의 글로벌 미디어 강국 도약과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위해 제 역할을 다할 것”이라며 “언론 정상화의 기차는 계속 달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따로 질문을 받지는 않았다. 다만, 사의 표명 과정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는 “구두로 먼저 말씀드렸고, 인사혁신처에 전달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이날 “방통위 설치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앞으로 이상인 부위원장이 방통위원장 직무를 대행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