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상금 1억2000만원, 총 상금 3억6000만원.’

온라인 웹소설 서비스 업체 문피아가 오는 12일 주최하는 ‘대한민국 웹소설 공모대전’에 내건 상금이다. 문피아는 회원 100만명, 작가 5만명을 보유한 국내 최대 웹소설 플랫폼. 이 회사가 지난 2015년 국내 처음으로 시작한 웹소설 공모전의 총 응모작은 1363편이었다. 매년 행사 때마다 투고작이 늘어나 지난해 5000여편 작품이 접수돼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총상금 15억원이었던 웹툰·웹소설 ‘지상 최대의 공모전’ 규모를 올해 더욱 확대해 다음 달 시작할 예정이다.

웹소설 시장이 팽창하고 억대 연봉 작가가 생겨나면서 학생·직장인·주부 등 직종과 나이를 가리지 않고 지망생은 늘고 있다. 작가 대부분 필명을 쓰면서 신원은 철저하게 베일에 가린다. 지난해 네이버 공모전 당선자 가운데 변호사와 영화 시나리오 작가가 있었다. 카카오페이지가 열었던 공모전엔 현직 검사 ‘초연(필명)’이 검사가 소시오패스 범죄자를 징벌하는 내용의 웹소설 ‘암흑검사’로 당선됐다. 그는 “대중문화에서 권력에 눈먼 악의 화신, 혹은 정의의 사도로만 그려지는 대한민국 검사들의 진짜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 소설을 틈틈이 쓰게 됐다”고 했다.

공모전은 ‘미스트롯’ 같은 TV 오디션 프로그램처럼 장기 레이스를 벌이며 수상작을 가린다. 공모전 기간인 40일간 최소 30회, 1회당 3000자 이상, 총 15만자 이상을 온라인에 연재해야 한다. 당락을 가르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독자들의 조회수로 나타나는 ‘작품의 인기’. 실시간으로 순위가 오르락내리락하기에 독자 반응을 살피며 하루에 한 번꼴로 작품을 꾸준히 올려야 한다.

주최하는 입장에선 판돈을 키워도 아쉬울 게 없다. 수상작 선정에 독자들이 참여하면서 팬덤을 만들고 신작도 발굴할 수 있다. 수상작은 공모전이 끝난 이후에도 연재를 지속하며 상금을 훌쩍 뛰어넘는 수익을 올린다. 지난해 문피아 공모전 대상 수상작 ‘신입사원 김철수’는 진급에 실패한 중년 직장인이 과거 출근 첫날로 돌아가면서 생기는 일을 그린 판타지 소설로, 한 달 판매액만 1억원을 넘겼다. 웹소설 IP(지식재산권)는 웹툰·드라마 등으로 확장되며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지난 2017년 대상을 받은 무협 웹소설 ‘나노 마신’은 지난해 6월 웹툰으로 출시되자 독자들의 관심이 동반 상승해 웹소설·전자책 한 달 매출이 5억원 가까이 치솟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