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쁘게 사람들이 오가는 더블린 거리, 기타 치는 남자의 노래에 오직 한 여자만이 귀 기울인다. 우울한 아일랜드 남자는 이제 음악을 포기할 참이었는데, 체코에서 온 당돌한 여자가 남자를 일으켜 세운다. “당신은 노래를 계속할 운명”이라며 다시 그 손에 기타를 들려준다. 두 사람은 함께 달콤한 포크 록 음악을 만들 운명이지만, 인생은 선택의 연속. 같은 길을 계속 걸을 수 있을지, 끝까지 가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이다.

지난해 뮤지컬 ‘라스트 파이브 이어스’에 이어 1년여 만에 다시 극중 주역 커플로 무대에 서는 박지연(오른쪽)과 이충주 배우. 박지연이 “힘든 얘기도 잘 받아주고 서로 뭘 해도 마음이 통한다. 의지를 많이 하게 된다”고 하자, 이충주는 “오히려 내가 많이 의지한다. 지난 작품 마치며 다음엔 무대 위에서 더 많이 만나는 작품 하자고 했었는데 지금 너무 좋다”고 했다. /신시컴퍼니

뮤지컬 ‘원스(Once)’<키워드>는 ‘폴링 슬로울리’(Falling Slowly), ‘이프 유 원트 미’(If You Want Me) 등 달콤하고 중독적인 노래들로 저예산 ‘아트 버스터’의 원조가 됐던 동명 영화(2007)가 원작. ‘공연계 오스카’ 토니상을 8개 거머쥐며 브로드웨이의 신화가 됐다. 10년 만에 다시 국내 관객과 만나는 이번 공연의 극 중 주역 커플은 지난해 숱한 관객의 눈물을 쏙 뽑았던 ‘라스트 파이브 이어스’에 이어 1년여 만에 다시 함께 무대에 선다. ‘가이(Guy)’ 역 이충주와 ‘걸(Girl)’ 역 박지연 배우다.

◇노래·연주·춤 한꺼번에… 150분의 황홀경

/신시컴퍼니

이 뮤지컬은 별도 오케스트라 없이 배우 12명이 모두 각자의 악기를 연주하며 노래와 안무까지 소화하는 ‘액터 뮤지션’ 공연. 덕분에 관객들은 150분간 기적처럼 황홀한 음악의 향연을 즐길 수 있지만, 배우들에겐 극악의 난도로도 유명하다. 공연 중인 서울 강남구 코엑스 아티움에서 만난 두 사람이 동시에 “아우~ 말도 마세요” 하며 손을 내저었다.

“백조는 수면 아래서 땀나게 발을 움직여야 물 위로 우아하게 미끄러진다고 하잖아요. 이 공연이 딱 그래요. 악기를 옮기거나 자리를 이동하고 기타에 카포(조옮김 기구) 바꿔 끼우는 타이밍까지 모든 게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가야 하니까, 다른 뮤지컬에 비하면 몇 배로 힘들죠.” 10년 넘게 뮤지컬 주역을 도맡아온 두 배우, 엄살인가 싶었는데 표정을 보니 진심이다.

◇토니상 음악감독 “이충주, 너다!”

뮤지컬 '원스(2025)'에서 아일랜드 남자 '가이(Guy)' 역 이충주가 대표 넘버 '폴링 슬로울리(Falling Slowly)'를 부르고 있다. /신시컴퍼니

이충주는 2009년 데뷔 뒤 ‘노트르담 드 파리’, ‘그레이트 코멧’, ‘썸씽로튼’, ‘물랑루즈’, 연극 ‘아마데우스’ 등 대작에서 드라마 강한 캐릭터에 특히 강했던 배우. ‘원스’는 그에게 “하늘에서 내려준 기회 같은 작품”이다. “음악을 전공했지만(부산예고 바이올린, 경희대 성악) 기타는 익숙지 않았어요. 우연히 연락을 받고 오디션을 봤는데 음악감독님도 연출님도 ‘너다!’ 해주신 거예요.”

토니상 8관왕 뮤지컬 '원스', 10년 만의 한국 공연에서 가이(Guy)를 맡은 이충주 배우./신시컴퍼니

‘가이’는 껴안고 잘 만큼 기타에 익숙해야 하고 프로의 연주 실력도 필요한 역할. 제작사도 주저했지만 ‘원스’로 토니·그래미·올리비에상을 모두 다 받은 마틴 로 음악감독의 선택은 이충주였다. 선행학습 열심히 하는 착한 학생처럼 1년 가까이 기타를 끼고 살았다. “부족하고 어렵죠. ‘가이’가 사실상 지휘자 역할이나 마찬가지여서 기타 스트로크 한 번 내려칠 때 그 장면의 리듬과 속도가 다 결정되거든요.”

옆에서 박지연 배우가 ‘오빠는 너무 겸손해서 탈’이라는 듯 끼어들었다. “근데 처음 리허설을 하는데 기타 연주를 너무 잘하는 거예요. 정말 환상적이었어요. 모두들 깜짝 놀랄 만큼. 얼마나 연습을 한 거야, 저도 놀랐죠.”

◇박지연 “영화 보던 순간부터 꿈꾸던 작품”

뮤지컬 '원스(2025)' 공연에서 '걸(Girl)' 역 박지연이 대표 넘버 '이프 유 원트 미(If Your Want Me)'를 부르고 있다. /신시컴퍼니

박지연은 2012년 한국뮤지컬어워즈 등 신인여우상 2관왕으로 화려하게 데뷔한 뒤 ‘고스트’, ‘레베카’, ‘드라큘라’ 등에서 주역을 맡았고 뮤지컬 ‘일 테노레’로 올해도 여우주연상 최종 후보에 오른 요즘 가장 ‘핫’한 배우. 2014년 초연 때 전미도와 더블 캐스팅으로 공연한 뒤 이번이 두 번째 ‘원스’다. 그는 “처음 영화를 보고 뮤지컬 얘기를 들었을 때부터 이 작품을 하고 싶었다. 글렌 한사드(원작자)보다 내가 더 ‘원스 덕후’일 것”이라며 웃었다. “다큐멘터리 느낌이 날 만큼 담백한 영화도 매력 넘치지만, 뮤지컬로 오면서 음악도 등장인물들의 캐릭터도 드라마도 훨씬 촘촘하고 풍성해졌어요.”

토니상 8관왕 뮤지컬 '원스', 10년 만의 한국 공연에서 각각 걸(Girl)을 맡은 박지연 배우. /신시컴퍼니

극중 ‘걸(Girl)’이 ‘이프 유 원트 미’를 부를 때 무대 위 세 여자가 함께 춤추는 장면은 음악과 움직임의 조화만으로 가슴 먹먹해지는 명장면. “채워지지 않는 공허함을 표현하기 위해 가장 개인적 감정을 수면 위로 끌어올려야 해요. 그 몸짓이 관객의 격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저와 배우들 마음속에도 파도가 일죠. 그 장면에 대해선 밤새도록이라도 얘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황석희 번역, 10년 전보다 100배 재밌을 것”

토니상 8관왕 뮤지컬 '원스', 10년 만의 한국 공연에서 각각 가이(Guy)와 걸(Girl)을 맡은 이충주, 박지연 배우. 지난해 '라스트 파이브 이어스'에서도 커플로 무대에 섰던 두 사람은 "진수 선배가 '이수일과 심순애 같다' 하길래 '저흰 남경주 최정원 할 거예요' 했다"며 웃었다. /신시컴퍼니

이번 공연은 특히 가장 각광받는 황석희 영화 번역가가 대본과 가사 번역을 맡아 완전히 새로 썼다. 박지연은 언론 공개 시연회에서 “대본이 새롭게 다 바뀌었다. 10년 전보다 100배 재미있을 것”이라고 했었다. “정확히 뜻을 살렸는데 더 자연스러워요. 숨어 있는 감정을 잘 잡아낸다고 할까요. ‘폴링 슬로울리’를 처음 합주하며 부르다 저도 모르게 눈물 흘렸다니까요.”(박지연) “번역가님이 곡이 쓰인 배경과 창작자의 상황까지 깊이 설명해주셨죠. 잘 쓰인 가사와 대사는 외우기가 쉬운데, 양이 꽤 많은데도 금세 입에 붙고 외워지더라고요.”(이충주)

두 사람은 최근 이 뮤지컬 노래들로 진행한 방송 프로그램 녹화 때 이야기를 하며 함께 웃었다. 박지연이 “제작진 분들이 ‘피아노 연주자분~’ 하고 부르시더라. 이름이나 역할로 불리는 것보다 그게 너무 기분 좋았다”고 했다. 이충주도 “저는 ‘기타1’이라고 불렸다. 어릴 때부터 무대에 서며 떨어본 적이 거의 없는데 첫 기타 스트로크 치기 전 피크 쥔 손이 덜덜 떨렸다. 하지만 끝났을 때 ‘이 작품은 이걸 하는 배우 이충주도 행복한 작품이 되겠다’는 확신이 들었다”고 했다.

주역 배우 한 둘이 관객의 갈채를 독차지하는 게 아니라, 모든 배우의 호흡이 하나로 모여 완벽한 퍼즐처럼 맞춰지는 순간은 황홀경 그 자체다. 두 사람은 “얼마 전 리허설 때는 함께 하는 선배가 ‘너희 둘 엄청 잘 맞는다. 이수일과 심순애냐?’ 하시더라”며 웃었다. “그래서 말했죠. ‘이수일과 심순애’보다 뮤지컬 무대 위 최장수 커플 ‘남경주와 최정원’ 하겠습니다!”

☞뮤지컬 ‘원스(Once)’

‘폴링 슬로울리(Falling Slowly)’로 오스카 주제가상을 받은 동명 아일랜드 영화(2007) 원작 뮤지컬. 음악을 포기하려던 기타리스트 남자와 체코 이민자인 피아니스트 여자가 더블린에서 우연히 만나 함께 음반을 만들어간다. 영화는 약 11만유로(당시 환율로 약 1억3000만원)로 제작해 2000만달러 넘는 매출을 올렸다. 전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이 영화를 많이 봤을 만큼 한국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다. 2012년 브로드웨이 뮤지컬로 개막, 토니상 11부문 후보에 올라 작품상과 남우주연상 등 주요 8부문을 휩쓸었고, 그래미상도 받았다. 2014년 라이선스 초연, 2015년 내한 공연에 이어 10년 만의 재공연이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