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의 급전 창구인 대부업체들이 줄줄이 신규 대출을 중단하면서 취약 계층이 돈을 빌리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29일 대부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에 상위 대부업체 69곳 가운데 13곳(19%)이 신규 대출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업계 1위인 러시앤캐시(아프로파이낸셜대부)도 작년 말 연체율 급등 등을 이유로 신규 대출을 중단했고, 2위인 리드코프는 신규 대출을 통상적인 수준의 20% 정도로 줄였다.
이들 69곳 업체의 작년 12월 신규 대출액은 780억원으로 작년 1월(3846억원)에 비해 80%나 급감했다. 12월 이용자 수도 1월(3만1065명)의 30% 정도인 1만여 명에 그쳤다.
대부업체들의 신규 대출 중단은 조달 금리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대부업체들은 저축은행이나 캐피털 회사에서 돈을 빌려 대출하는데, 금리가 빠르게 오르면서 작년 말 대부업체들의 조달 금리가 연 8%대까지 치솟았다. 반면 대부업체들은 법정 최고 금리인 연 20%를 넘겨서 대출을 내줄 수 없다. 대부업체들은 “저신용 고객의 대출 부실 위험을 감안하면 대출 금리가 연 20%를 넘어야 수지를 맞출 수 있다”고 주장한다.
대부업계는 보통 회수할 수 없는 대손 비용을 약 8~10%로 책정하고, 대출 중개사에 내는 광고·판공비를 3~5% 수준으로 본다. 여기에 8%대인 조달 금리를 더하면 연 20% 이상으로 대출을 내줘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한 대부업계 관계자는 “그나마 대손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고신용자에게만 제한적으로 대출을 내주고 있다”고 했다. 금융권에서는 “금리 급등기에 법정 최고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경우 오히려 취약 계층이 최대 피해자가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2021년 7월 법정 최고 금리를 연 24%에서 20%로 인하할 당시 금융 당국은 3만9000명 정도가 대부업체 대출을 거절당해 불법 사금융으로 밀려날 것으로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