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2025년까지 미국에 5조원 이상을 투자해 최소 2곳의 신규 공장을 짓는다. 이는 현재 GM과 테네시주에서 추진 중인 두 번째 배터리 합작 공장과는 별개다. 미국의 ‘그린 뉴딜’ 정책으로 급성장이 예상되는 미국의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미국 오하이오주의 LG와 GM의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1공장 건설 현장

LG에너지솔루션은 12일 “미국에 2025년까지 독자적으로 5조원 이상을 투자해, 70GWh 이상의 배터리 생산능력을 추가 확보한다”고 밝혔다. 투자가 이뤄지면 LG에너지솔루션 독자적인 생산능력은 기존 미시간 공장(5GWh)과 함께 총 75GWh으로 늘어난다. 특히 전기차와 ESS(에너지저장장치)용 파우치 배터리 뿐만 아니라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전기차용 원통형 배터리도 만들 계획이다. 원통형 배터리는 테슬라가 채택하는 모델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70GWh의 생산능력을 추가 확보하게 되면 직접 고용인원 4000여명과 공장 건설 기간 투입 인력 6000여명 등 1만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또 GM과 함께 상반기 내 두 번째 공장에 대한 구체적인 투자 규모와 부지를 확정할 예정이다. 이 공장은 오하이오주에 있는 첫 번째 합작공장과 비슷한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계획된 투자가 모두 진행되면 미국 자동차 배터리 시장의 약 25%를 점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번 투자는 급성장하는 미국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이다. 미국은 바이든 대통령 당선 후 본격적으로 그린뉴딜 정책을 펼치고 있고, 정부 관용차 300만대를 전기차로 교체하기로 했다. 또 전기차 충전소 50만개 설치 등 시장 수요 견인 정책도 마련한다. 여기에 ‘바이 아메리카’ 정책으로 미국 전기차에 배터리를 탑재하기 위해선 현지 생산량을 늘려야 한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작년 12월 미국 전기차 시장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 작년 30만대에서 2025년 240만대, 2030년 480만대, 2035년 800만대 등 연평균 25% 성장이 예상된다.

하지만 업계에선 최근 SK이노베이션과 벌이고 있는 ‘영업비밀 침해소송’과 맞물려 다른 해석도 나온다. LG에너지솔루션은 SK이노베이션과 벌인 소송에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로부터 승소 판결을 받았다. 이 판결이 최종 확정되면 SK이노베이션은 10년 동안 미국에서 배터리 사업을 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양사 간 합의가 필요하지만, 아직 배상금 규모와 방식에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ITC 판결로 SK의 발이 묶인 상황에서 LG가 공격적으로 치고 나가는 것”이라며 “대규모 투자와 일자리를 명분으로 ITC 결정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의 거부권을 기대하는 SK이노베이션은 더 난처한 입장이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