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창업자 김범수(55) 의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제치고 한국 재산 순위 1위에 올랐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김 의장이 순자산 134억달러(약 15조4000억원)로 이 부회장을 제치고 한국 최고 부자 자리에 등극했다고 보도했다. 이 부회장의 자산은 121억달러(약 13조9000억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김 의장의 재산은 카카오 주가가 급등하면서 올해에만 60억 달러(약 6조9000억원) 증가했다. 카카오 주가는 올해 들어 91% 상승했다.
매체는 자수성가한 IT 기업인이 수 십 년간 한국 경제를 지배한 대기업 총수를 제쳤다며, 이는 기념비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김 의장은 이른바 ‘흙수저’ 출신 자수성가한 기업인으로 알려져 있다. 전남 담양에서 상경한 부모 밑에서 2남 3녀 중 셋째로 태어난 김 의장은 5남매 중 유일하게 대학에 진학했다. 아버지는 막노동, 어머니는 식당 일을 했다. 할머니를 포함해 여덟 식구가 단칸방에서 살았다는 그는 가난한 어린 시절을 몇 차례 언급해왔다.
김 의장이 중학생 때 아버지가 정육 도매업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작은 집을 장만하기도 했지만 몇 년 지나지 않아 부도가 났다. 그래서 대학 재수 공부를 하던 시절, 손가락을 베어 ‘혈서’를 쓰면서 마음을 다잡았다는 건 유명한 일화다. 서울대 산업공학과 86학번으로 입학한 김 의장은 과외를 하며 학비를 마련했다. 학업을 마친 뒤 삼성데이타시스템(삼성SDS 전신)에 입사해 본격적으로 컴퓨터 언어를 습득했다.
그는 1990년대 말 대형 PC방을 부업으로 개업했고, 1998년에는 삼성SDS에 사표를 내고 한게임을 창업했다. 2000년에는 삼성SDS 동기였던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의 네이버와 한게임을 합병해 NHN 공동대표가 됐다. 단독대표, 해외사업 총괄 대표직을 맡았던 그는 2007년 대표직에서 물러나 가족들이 있는 미국으로 떠났다.
NHN을 나온 후 김 의장은 카카오의 전신인 ‘아이위랩’에 합류했고, 4년 뒤 모바일 메신저 프로그램인 ‘카카오톡’을 출시했다. 카카오는 모바일 메신저를 넘어 결제, 금융, 게임, 차량호출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카카오톡 출시 9년만인 지난 2019년에는 자산총액 10조 이상 대기업으로 올라섰다.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카카오의 시가총액은 한국 증시에 상장된 기업 중 네 번째로 많다.
한편 김 의장은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 부부와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이 시작한 자발적 기부 운동인 ‘더기빙플레지’를 통해 공식 서약을 하기도 했다.
김 의장은 서약서를 통해 재산 절반 이상 기부의 뜻을 밝히면서 “가난한 어린 시절을 겪었던 저는 30대에 이를 때까지 ‘부자가 되는 것’을 오직 인생의 성공이라 여기며 달려왔다. 그러나 목표했던 부를 얻고 난 뒤 인생의 방향을 잃고 한동안 방황해야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미 있게 산다는 것’에 관해 스스로 수많은 질문을 던졌다”고 했다.
그는 “이 서약을 시작으로 우리 부부는 기업이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의 사회문제 해결에 나서려 한다”며 “우리가 걸어가는 길이 세상을 바꾸기 위해 도전하는 또 다른 혁신가들의 여정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