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0개월 만에 ‘제로(0%대) 금리’ 시대의 막을 내렸다.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해 연 1%로 정했다.
한은은 코로나 경제 충격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통상적 조정 폭의 2배인 0.5%포인트 인하해 연 0.75%로 낮췄다. 두 달 후엔 연 0.5%까지 끌어내린 뒤 1년 3개월간 유지하다 지난 8월 연 0.75%로 높이면서 금리 인상을 시작했다.
금통위는 “코로나 관련 불확실성이 상존하나 국내 경제가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인상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1844조9000억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등의 이자 부담이 커져 경기 회복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금통위 의장인 이 총재는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 “코로나라는 위기를 맞아 이례적으로 낮췄던 기준금리를 이대로 유지할 명분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1%로 올렸지만) 성장과 물가 흐름을 볼 때 기준금리는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했고, “경제 상황에 달려있겠지만 (내년 1분기) 인상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했다. 내년 초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이 총재의 임기는 내년 3월까지고, 한 번 더 인상(0.25%포인트)해 연 1.25%가 되면 코로나 위기 이전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인플레이션 압력 등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 조기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도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붙일 수 있다. 연준이 내년 6월 이후로 예상되는 인상 시점을 더 앞당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달 초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여러 참석자가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보다 계속 높을 경우 예상보다 빠르게 기준금리를 올릴 준비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지난 24일(현지 시각) 공개된 FOMC 11월 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망설임 없이 조치할 것”이라는 등의 발언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