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융 당국의 강도 높은 가계대출 규제 여파로 신용도가 높은 사람들이 받는 저금리 대출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에서 1.0%로 인상한 데다 은행들이 대출 증가율을 낮추기 위해 주요 고객층인 고신용자의 대출 한도를 축소하고 금리를 높였기 때문이다.
3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은행이 취급한 신용대출(마이너스 대출 제외) 중 연 4% 미만 저금리 대출 비율은 평균 52%로 1년 전(91%)보다 크게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연 4~6% 미만으로 비교적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 비율은 5%에서 29%로 같은 기간 6배 가까이 증가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의 가계 부채 규제에 금리 인상이 겹쳐 결과적으로 은행만 ‘이자 잔치’를 벌이게 됐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은 작년 3분기, 이자로만 11조6000억원을 벌었다. 전년보다 1조원가량 증가한 수치다.
한은 이주열 총재가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릴 수 있음을 이미 시사해 금리는 더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은행권 신규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비율은 8년 만에 최고치인 83%로 전년 동월(69%)보다 더 올라갔다. 금리가 오르면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더 불어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