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8일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을 2.7%로 전망했다. 작년 12월 예상했던 3%는 어렵다고 했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 4.5%에서 3.0%로 크게 낮췄는데, 한국은 그보다 못할 것으로 본 것이다. 우리나라의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2.1%에서 4.8%로 배 넘게 상향 조정했다.

OECD는 이날 발표한 ‘경제 전망’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중국의 코로나 봉쇄 영향 등으로 세계 경제 회복세가 둔화되고 물가는 크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세계 경제가 성장률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했다.

OECD 회원국들의 성장률 전망치도 3.9%에서 2.7%로 떨어졌다. 한국은 다른 회원국보다는 상황이 낫다고 평가했다. “거리 두기 해제, 추가경정 예산안 효과 등으로 견조한 회복을 보일 것”이라고 했다.

세계은행(World Bank)도 지난 7일(현지 시각)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4.1%에서 2.9%로 대폭 낮췄다.

WB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현 상황은 1970년대 말 오일 쇼크로 세계적 인플레이션이 온 뒤,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이 물가 억제를 위해 급격한 금리 인상을 단행해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동반하는 경기 침체)이 닥쳤던 상황과 유사하다”고 했다.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세계 경제) 성장을 내리치고 있다”며 “많은 나라들이 경기 침체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