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 이연주

금융당국이 지난해 적발한 보험사기 피해액이 1조원을 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발 인원만 해도 10만 명이 넘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액이 1조818억원으로 전년(9434억원)보다 384억원(14.7%)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적발 인원은 10만2679명으로 1년 전 9만7629명을 기록한 것보다 5050명(5.2%) 늘었다.

유형별로는 ‘사고내용 조작’이 6681억원으로 전체 금액의 과반(61.8%)을 차지했다. 그리고 ‘허위사고’와 ‘고의사고’가 각각 1914억원(17.7%)과 1553억원(14.4%)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사고내용 조작 중에서는 가장 비중이 큰 ‘진단서 위변조 및 입원수술비 과다청구’가 2468억원으로 전년 대비 633억원(34.5%) 증가했다.

보험종목별로는 손해보험 적발액이 94.6%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장기보험(47.9%)과 자동차(43.5%) 외에 화재(0.3%), 해상(0.1%) 순이었고 기타는 2.9%였다.

적발 인원의 연령대는 50대가 24.0%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60대 이상(22.2%), 40대(19.4%), 30대(17.1%), 20대(15.8%) 순이었다. 이들의 직업은 회사원(19.1%)이 제일 많았고 무직·일용직(11.1%), 전업주부(10.6%), 학생(4.9%)이 다음이었다. 보험설계사·의료인·자동차정비업자 등 관련 전문종사자의 비중은 4.3% 수준이었다.

금감원은 “보험사기로 인한 보험금 누수는 결국 보험료를 올려 선량한 보험 가입자의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수사당국,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과 공조해 조직형 보험사기 등에 대한 조사와 적발을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