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계류장의 대한항공 여객기들. /뉴스1

우리나라 국적 항공사들이 일부 한중 노선 운항을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코로나 엔데믹(풍토병화) 이후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한중 관계가 얼어붙은 여파로 우리나라와 중국을 오가는 이들은 좀처럼 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 16일 김포-베이징을 오가는 노선 운항을 8월 1일부터 올해 하계 운항 스케줄이 끝나는 10월 28일까지 운항하지 않는다고 공지했다. 인천-샤먼 노선은 7월 25일부터 8월 8일까지 잠깐 운항한 뒤, 8월 9일부터 10월 28일까지는 운항을 멈추기로 했다.

아시아나항공은 김포-베이징 노선과 인천-선전 노선을 각각 7월 6일, 7월 8일부터 10월 28일까지 운항을 중단한다. 인천-시안 노선은 이미 지난 20일부터 운항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항공사들은 한중 노선에 대한 수요가 살아나지 않고 있다고 설명한다. 중국이 여전히 한국 단체 관광을 막고 있고, 우리나라 국민들의 중국 여행 수요도 회복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국토교통부 항공 통계에 따르면 지난 1~5월 중국 노선 이용객 수는 120만6374명으로, 코로나 확산이 시작되던 2020년 같은 기간(199만153명)의 60% 수준에 그쳤다.

반면 지난 1~5월 우리나라 공항에서 국제선을 이용한 승객 수는 2406만69명으로, 2020년 같은 기간(1285만1390명)의 187%로 늘었다. 전체 국제선 이용객 중 중국 노선 이용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1~5월 15.5%에서 올해 같은 기간 5%로 줄어든 셈이다.

다만, 항공사들은 일부 중국 노선 운항이 중단되더라도 다른 중국 노선의 재개·증편에 따라 전체 한중 노선 운항 횟수는 늘거나 동일하게 유지된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코로나 기간 중단한 인천-창사 노선과 인천-웨이하이 노선 운항을 각각 7월 19일과 9월 27일에 재개할 예정이다.

현재 스케줄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한중 노선 항공편은 이번 달 주당 95회에서 다음 달에는 주당 124회로 늘고, 8월에도 주당 114회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아시아나항공도 6∼8월 전체 한중 노선 운항 횟수를 주당 85회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