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와 운동선수 직군의 소득 쏠림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가 나머지 99%의 소득보다 수백 배 많은 돈을 벌고 있었다.
7일 국세청이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소득 상위 1% 가수 99명의 1인당 사업소득은 38억원이었다. 반면 나머지 99%인 9761명의 1인당 사업소득은 1100만원에 불과했다. 상위 1% 가수의 연간 수입은 99%가 벌어들이는 돈의 345.5배에 달한다.
2021년 상위 1% 가수의 소득이 전체 가수 직군의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6.9%였다. 2019년 60.1%, 2020년 70.6%에 이어 계속 상승하고 있다. K팝이 전세계적으로 뻗어나가면서 국제화에 성공한 가수나 아이돌 그룹들이 천문학적인 음원, 공연 수입을 올리면서 국내 행사 중심의 가수들과 소득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운동 선수의 소득 쏠림도 상당히 큰 편이었다. 2021년 기준 상위 1%인 375명의 1인당 연평균 사업소득은 8억1000만원이었다. 나머지 99%인 3만7143명의 1인당 소득은 800만원에 불과했다. 상위 1%가 99%보다 101배나 많은 돈을 벌고 있는 것이다. 프로스포츠 선수 중 다수가 FA 다년 계약 등을 통해 최대 수백억원의 ‘연봉 잭팟’을 터뜨리면서 연봉 격차가 커지고 있다. 전체 소득에서 상위 1%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49.6%에서 2020년 48.2%로 떨어졌지만 2021년 49.6%로 다시 커졌다.
유튜버도 극소수만 살아남는 대표적인 분야다. 2021년 기준 상위 1% 유튜버 342명의 1인당 평균 사업소득은 3억6600만원이었다. 이들을 뺀 나머지 3만3877명(99%)의 평균 사업소득은 600만원에 그쳤다. 상위 1%가 유튜버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28.8%, 2020년 36.4%, 2021년 37.6%로 계속 상승하는 추세다.
한편 직장인들의 소득 격차도 확대되고 있다. 국세청에 따르면 2021년 근로소득 상위 1%에 해당하는 19만9591명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은 3억1729만원으로 중위소득자(3003만원)의 10.6배에 달했다. 2020년 격차(9.9배)보다 확대된 것이다. 상위 1% 직장인들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총 근로소득은 63조3295억원으로 전체 근로소득의 7.9%를 차지했다.
근로소득 상위 0.1%에 해당하는 1만9959명의 1인당 연평균 급여소득은 9억5615만원으로 중위 소득자의 31.8배나 됐다. 2021년 중위소득자의 평균 급여소득은 전년보다 108만원(3.7%) 늘어나는 데 그쳐 이들 간의 격차는 전년(28.8배)보다 더 벌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