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 로고/티빙 제공

국내 OTT 1위 업체인 티빙이 연내 구독료를 인상하고, 내년 초 광고형 요금제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는 티빙이 독립 출범한 2020년 이후 처음 진행한 요금제 개편으로, 이와 더불어 실시간 라이브 채널 무료 제공, 다운로드 기능 도입 등 고객 혜택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31일 티빙은 올해 12월 1일부터 구독료를 인상하고, 내년 1분기 중 광고형 요금제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독료는 웹 결제 기준 베이직 요금제가 월 7900원에서 9500원, 스탠다드는 1만900원에서 1만3500원, 프리미엄은 1만3900원에서 1만7000원으로 인상된다. 가장 저렴한 베이식 기준 월 납부 금액이 20% 가량 오르는 셈이다. 기존 가입자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했던 웹 구독료가 현재 인앱결제(앱 마켓을 통한 결제) 수준인 베이직 9000원, 스탠다드 1만2500원, 프리미엄 1만6000원으로 통일되며, 변경된 가격은 내년 3월부터 청구된다.

이어 내년 1분기에는 업계 최초로 월 5500원의 광고형 요금제가 출시된다. 금액은 지난해 말 광고형 요금제를 내놓은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와 같다. 티빙 관계자는 “광고 사업이 OTT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어, 이에 발맞춰 광고형 요금제를 내놓은 것”이라며 “요금제 개편으로 독보적인 콘텐츠 경쟁력을 확보해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티빙의 오리지널 콘텐츠 '몸값' 포스터'/티빙 제공

요금제 개편과 더불어 서비스 편의도 확대된다. 오는 12월부터 무료 가입자들도 tvN, JTBC 등 29개의 실시간 라이브 채널을 시청할 수 있고, 기존 VOD에는 구독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다운로드 기능이 도입된다. 또, 기존에는 하나의 계정으로 1대의 태블릿, TV 등 전자기기에 접속할 있었던 베이직 요금제도 최대 4대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혜택을 강화했다.

OTT업계에서는 티빙의 요금제 개편이 ‘예정된 일’이었다는 반응이다. 지난 1년여간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주요 OTT업체들은 요금제 인상 계획을 밝히고, 광고형 요금제를 도입하는 등 수익성 개선에 열을 올려왔다. 이 가운데 티빙은 높아진 콘텐츠 수급 비용 탓에 2020년 61억원, 2021년 762억원, 2022년 1192억원의 적자를 기록해, 수익성 개선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 OTT업계 관계자는 “OTT 시장이 전반적으로 가입자 증가세 둔화 등 정체기에 접어든 만큼,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가입자 모집의 한계가 분명해졌다”며 “티빙도 수익성을 개선해 적자를 해소하는 동시에 프리미엄 콘텐츠를 내놓는 전략을 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