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언장을 공증받아둬도 내 뜻대로 상속되지 않을 수 있다?

✅돈 내고 유언대용신탁 서비스 가입하고 싶어도 못 하는 경우가 있다?

2일 오전 6시 조선일보 경제 유튜브 채널 ‘조선일보 머니’에 업로드 된 ‘머니머니 시즌2′는 유언과 유언 공증, 유언대용신탁이라는 세 가지 상속 방식을 비교분석했다. 내게 가장 적합한 상속 준비 방식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독자들을 위한 컨텐츠다. 상속 컨설팅 경험이 풍부한 하나은행 리빙트러스트센터의 김하정 센터장이 설명을 맡았다.

지난달 초, 하나금융연구소가 발표한 ‘중산층의 상속 경험과 계획’ 보고서를 보면 중산층이 가장 선호하는 상속 방식은 유언과 공증이었다. 자필 유언장은 간편하기는 하지만, ‘마지막’ 유언인지를 확인하는 데에 시간이 꽤 걸리는 경우도 많다 보니 공증을 대안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유언장을 공증받는 절차는 어떻고, 공증 및 공증 유언장 보관에 드는 비용은 대략 얼마쯤일까. 돈만 지불하면 공증 유언장을 써둘 수 있는 것일까?

김하정 센터장은 공증을 설명하며, 공증 집행 과정에서 종종 발생하는 사례를 소개했다. 공증 집행관의 사퇴로 집행이 크게 지연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어떨 때 이런 일들이 벌어지는 것일까. 깔끔한 상속을 위해 공증 유언을 준비할 때 유념해 둬야 할 부분에 대해 알아보자.

그렇다면 요즘 점점 인기를 끌고 있다는 은행·증권사의 유언대용신탁은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유언대용신탁 잔액은 2020년 말 8800억원에서 올 2분기 말 3조5000억원으로 4년도 안 돼 4배 가깝게 불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신탁 수수료 걱정을 한다. 금융사는 생전에 재산을 관리해주다 사후엔 설계해둔 대로 이를 배분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그 대가로 계약보수와 집행보수, 관리보수 등 수수료를 받기 때문이다. ‘금융사들의 돈벌이 수단’이라는 부정적 이미지가 강한 이유다. 최근 금융사들은 “꼭 자산가가 아니어도, 집 한 채만 있어도 신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광고하는데, 정말 그런지 김 센터장이 답한다.

이 밖에 상속 준비자들이 궁금해하는 대표 질문들에 대해서도 알아봤다.

✅상속 경험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한 다섯 가지 이유

✅배우자나 자녀들에게 유언장 내용을 비밀로 했을 때의 위험성

✅유언대용신탁의 법적 리스크

김 센터장의 답변과 중산층의 상속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등 보다 자세한 내용은 ‘머니머니 시즌2′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서 ‘머니머니 시즌2′를 영상으로 보시려면 다음 링크를 복사해서 접속해 보세요. https://youtu.be/xLoVe_BmvB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