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여성의 평균 자녀 수가 10년새 1.96명에서 1.71명으로 감소한 반면 무자녀 비율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해가 갈수록 자녀를 갖지 않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24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저출생 통계지표’를 공개했다. 이번 통계지표에는 기존 통계를 활용한 53개 지표와 새롭게 개발한 △코호트(동일집단) 출산율 △코호트 무자녀 비율 △청년층 소득이동성 △저출생정책제도 수요 △늘봄학교 이용률 등 5개 지표가 신설됐다.
코호트 출산율이란 기준년도에 가임기간이 종료된 50~54세 여성의 평균 총 출생아 수를, 코호트 무자녀 비율은 해당 여성 중 무자녀 비율을 의미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 기준 50세 여성(1960년생)의 코호트 출산율은 1.96명이었지만, 2020년 50세 여성(1970년생)의 코호트 출산율은 1.71명으로 줄었다. 또 2010년에는 50세 여성 중 자녀를 갖지 않은 비율이 4.4%였지만, 2020년 기준으로는 무자녀 비율이 12.3%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2020년 가임여성(15~49세)의 합계출산율은 0.84명인 반면, 50~54세 가임기간이 끝난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1.71~1.8명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흐를수록 저출생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는 의미다.
이번에 공개된 ‘저출생정책제도 수요’ 지표에 따르면, 국민이 가장 원하는 저출생 정책은 ‘주거지원’으로 전체의 33.4%를 차지했다. 이어 청년 취업 지원·일자리 창출(20.8%), 일 가정 양립(14%), 돌봄 지원(11.5%), 경쟁적 교육환경 개선(9.1%), 현금성 지원(8%), 의료지원(3.1%) 등 순으로 집계됐다. 이날 이형일 통계청장은 “저출생 통계지표가 인구구조대응 정책추진에 널리 활용되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