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전쟁이 본격화된 2018년 이후 미국이 중국산 반도체 수입을 크게 줄이면서, 대만과 베트남산 반도체 수입을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은 소폭 증가에 그쳤다.
9일 전경련이 2018~2022년 미국 반도체 수입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반도체 수입량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2018년 30.2%에서 지난해 11.7%로 3분의 1 토막이 됐다. 중국은 2000년대에 들어 점유율 1위를 줄곧 유지했지만 2018년 이후 하락하기 시작해 지난해 4위로 떨어졌다.
그 사이 대만산 반도체의 점유율은 2018년 9.5%에서 2022년 19.2%로 2배로 늘었다. 순위는 4위에서 한국(3위)과 말레이시아(2위)를 제치고 1위로 등극했다. 대만엔 TSMC와 UMC 같은 대형 파운드리 업체들이 있다.
2위 말레이시아는 같은 기간 점유율이 22.8%에서 18.8%로 하락했다.
한국산 반도체는 2017년부터 작년까지 3위에 머물고 있다. 점유율은 10.8%에서 12.6%로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4위인 베트남산 반도체 점유율도 2.5%에서 9.8%로 크게 늘었다. 베트남엔 인텔·온세미컨덕터 같은 미국 업체들과 대만업체 USI 등이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2018년 대중 수입에 대해 3차례에 걸쳐 10~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2019년에도 이 기조를 이어갔다. 또 미국산 기술이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이용해 만들어진 부품·장비 등의 대중 수출을 제한했다. 이에 따라 제재를 받은 중국 기업들은 반도체 생산 및 반도체 역량 강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대만·베트남은 중국이 직격타를 입은 품목을 중심으로 미국을 공략했다. 미국의 반도체 최대 수입품목(33.4%)인 ‘컴퓨터 등의 부품주’에서 미국의 대중 수입액은 2018년∼2022년 96.7억달러(-58%) 감소했는데 대만 수입액은 75.6억달러(+327%) 증가했다. 베트남 수입액은 35.1억달러(+4038%) 늘었다. 한국 수입액은 $25.8억(+52%) 증가했다.
‘기타 전자집적회로’ ‘LED 및 태양전지·태양광 모듈 등’ 처럼 성장세가 높은 품목도 집중 공략한 것으로 분석된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우리 정부가 첨단전략산업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 투자 인허가 처리 신속화 등 국내 투자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활용해 국내 반도체 생산기반을 강화하고 반도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