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해군이 향후 30년간 군함 확보에 1600조원가량의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는 미 의회예산국(CBO) 보고서가 나왔다. 한미 조선업의 협력 가능성이 큰 가운데, 국내 조선업계의 수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14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미 의회예산국은 미 해군의 ‘2025 건조 계획’을 분석해 지난 8일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공개했다. 미 해군은 2024년 295척이었던 군함을 30년 뒤인 2054년까지 390척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퇴역 물량을 감안해 전투함 293척과 군수·지원함 71척 등 총 364척을 새로 구매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30년간 한 달에 한 척꼴로 함선을 새로 구매하는 막대한 물량이다. CBO는 총예산을 1조750억달러(약 1600조원)로 추정했다. 연평균 358억달러(약 52조3700억원) 규모다.

중국 해군과 전력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 해군은 계획 이행 과정에서 한국을 비롯한 동맹국의 조선 기술을 적극 활용하려 하고 있다. 현재 미 조선업계는 공급망이 무너진 데다 인력난까지 겹쳐 생산, 보수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CBO도 “현재 해군의 여러 조선 프로그램이 일정 지연과 비용 증가에 시달리고 있고, 조선소들도 근로자의 고용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미국에서 건조한 선박만 미국 내 운항이 가능하다’는 내용의 미 연안무역법(존스법)이 걸림돌이 되고 있어, 미국 내부에서도 이 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세계 조선업계는 중국과 한국, 일본이 시장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해 11월 윤석열 대통령과 한 첫 통화에서 조선업을 콕 찍어 협력을 요청한 데다, 한화오션도 지난해 1억달러(약 1460억원)를 들여 미 필라델피아의 ‘필리 조선소’를 인수하는 등 한국이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