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라배마 공장./현대차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18일(현지 시각) 앞서 부과를 예고했던 자동차 관세율이 “25%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4일 부과 시점을 “4월 2일쯤”이라고 한 데 이어 세율까지 못 박은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의약품에 대해서도 “25% 이상 관세를 붙이겠다”고 말했다.

현대차·기아는 멕시코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14만대에 이어 국내에서 미국으로 보내는 100만대까지 25% 관세를 물게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진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들도 지난해 107억달러(약 15조4000억원)에 달했던 대미 반도체 수출이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범용 메모리 제품을 중심으로 급감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와 반도체라는 품목을 언급했지만, 미국 시장에서 한국산 자동차와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율과 성격을 감안하면 우리나라가 25% 관세에서 최우선 순위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다. 한국산 자동차는 지난해 미국 수입차 시장에서 점유율이 20%에 육박하며 멕시코에 이어 2위에 올랐다. 자동차에 25% 관세가 붙는다면 국내 자동차 업계의 피해는 10조원을 웃돌 것이란 전망치도 나온다. 반도체도 미국 업체들의 주문을 받아 제작하는 파운드리 비율이 높은 대만 TSMC 등은 관세가 붙는다고 해도 수주나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겠지만, 국내 기업들은 미 빅테크에 바로 납품하는 메모리 반도체 물량이 많아 관세 충격이 더 클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플로리다 마러라고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자동차 관세율을 결정했느냐는 질문에 “시기는 4월 2일이며 관세율은 25% 안팎이 될 것”이라고 했다.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서는 “25%나 그 이상에서 시작할 것”이라면서 앞으로 더 인상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그는 “그들(외국 기업들)이 미국으로 와서 여기에 공장을 두면 관세가 없다. 우리는 그들에게 약간의 기회를 주고 싶다”고 말해 관세 위협의 목적이 미국 현지 생산 확대에 있다는 점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