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현장에서 위성, 양자, 인공지능(AI) 네트워크를 6G 시대 핵심 기술로 낙점하고 관련 기술 확보에 나서겠다고 4일 밝혔다.
KT는 6G 시대에는 위성 통신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국내 유일 위성 통신 사업자인 KT의 역할이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정지궤도 위성, 저궤도 위성, 성층권 비행체 등을 활용한 비지상 통신 네트워크(NTN·Non-Terrestrial Networks)를 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존 지상 통신망에 국한된 서비스 범위를 해상 및 상공까지 확장해 재난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통신망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KT는 지난해 9월 무궁화 위성 6호를 5G NTN 표준으로 연동하는 기술을 선보였고, 이번 MWC에서는 무궁화 위성의 6G 통신 기술을 시연했다.
KT는 양자 기술 개발에도 역량을 쏟고 있다. 기존의 양자암호통신이 양자를 이용해 암호 키를 생성·전달하는 기술이었다면, KT는 한발 더 나아가 양자를 이용해 직접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술을 선보이겠다는 계획이다. 또 6G 시대에는 AI, 클라우드 등으로 데이터의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양자 보안을 위해서는 고속의 암호 키 제공이 필수적이다. KT는 “현재 양자 암호 키 생성 속도를 국내 최고 수준인 150kbps까지 끌어올렸다”고 했다. 또 양자컴퓨터의 방대한 연산 능력으로도 해킹이 불가능한 양자내성암호를 활용해 최고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하겠다는 목표다.
스스로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AI 기반 네트워크도 선보일 계획이다. 현재 네트워크에서 수집되는 정보에 AI를 적용해 스팸 차단, 보이스피싱 탐지 등 고객 보호를 위한 서비스를 개발했으며, 자율주행차와 같은 AI 응용 분야들과 연계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술 개발에도 힘쓸 예정이다. 이번 MWC에서 개최된 관련 토론에서는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 이원열 액세스망연구담당이 기조 연설자로 나서 자율주행을 위한 AI 네트워크 기술 개발 현황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