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배전망 구축이 지연돼 전기를 생산·판매하지 못했다’며 한국전력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기로 한 삼성·포스코 등 국내 대기업 계열 석탄화력 발전사 3곳이 20일 공동 협의체를 구성했다. 이들은 정부에 요구할 손실 보상과 제도 개선 방안을 이날 논의한 데 이어, 이르면 다음 달 초 한전을 공정위에 제소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5월 송전선 부족으로 가동을 멈춘 강원도의 한 석탄화력발전소 모습. /김지호 기자

강릉에코파워와 삼척블루파워, GS동해전력 등 발전사 임원진은 이날 강원 동해시 GS동해전력에서 만나 공정위 제소 일정 등을 조율했다. 이들 발전사는 “송전망 구축 지연에도 한전이 자회사인 한수원의 전기를 우선 구매했다”며 공정위에 불공정 거래로 제소를 추진하고 있다. 법무법인 계약 일정 등을 고려하면 이달 내 제소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에 요구할 손실 보상과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다. 송전망이 부족한 상황에서, 굳이 한전을 거치지 않아도 전력을 직접 데이터센터 사업자 등 수요처에 팔 수 있는 ‘송전 제약 PPA(전력 직접 구매)’를 현실화해 달라는 것이다. 그동안 송전 제약으로 원전과 재생에너지에 송전망을 내주면서 석탄화력으로 전력을 생산·판매하지 못한 손실분을 보상해 달라는 내용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다.

이들은 송전망 부족으로 발전소를 돌리지 못해 수천억원대 경제적 손실을 보고 있다. 2022년부터 상업 운전을 시작한 강릉에코파워는 연간 약 5000억원, 삼척블루파워는 올해에만 2300억원의 원리금을 갚아야 할 실정이다. 삼척블루파워가 건설에만 약 4조9000억원을 투자한 1·2호기는 전체 이용률이 이달 중순까지 7%에 그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