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태안의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수도권에 있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 현장으로 보내는 송배전망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가 2일 준공됐다. 사업에 착수한 지 22년 만이다. 이 선로는 길이가 44.6㎞에 불과하지만, 지역 주민과 지자체 반발에 부딪혀 입지 선정이 늦어지고 공사가 지연된 탓에 사업 초기에 세운 목표보다 준공이 13년이나 미뤄졌다. ‘국내 최장기 송전선로 지연 사업’으로 불려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충남 당진시 서해대교 인근 해상 철탑 현장에서 준공식을 열고, 송배전망을 정식으로 가동했다. 이 사업은 2003년 제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처음 포함됐는데 당시 세운 준공 목표는 2012년 6월이었다. 하지만 입지 선정에만 11년이 걸렸다. 후보지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 등이 농지가 훼손된다거나, 철새가 사라질 수 있다는 것 등을 이유로 들며 반대해서다. 입지가 정해진 뒤에도 지역 주민 반대를 의식한 당진시 등 지자체가 인허가를 내주지 않아 공사가 수시로 멈췄다. 준공 목표만 6차례 미뤄졌다.
송배전망 건설이 지연되면서 한전이 입은 손실만 1조원을 웃돈다. 석탄 화력발전보다 생산비가 비싼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사와야 했기 때문이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전기 구입 비용이 2016~2023년 1조1727억원 더 들어 재무 구조를 더 악화시켰다. 대신 이번 송배전망 준공으로 전력 구입비를 연 3500억원 안팎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는 준공됐지만 전국 곳곳에선 여전히 송전망 건설이 지연되고 있다. 동해안 원전 등과 수도권을 잇는 ‘동해안~신가평 HVDC(초고압 직류 송전)’, 당진화력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실어나르는 ‘345㎸ 당진화력~신송산 송전선로’는 각각 5년 6개월, 7년 6개월씩 준공이 미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