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업으로 개발한 미디어 특화 AI를 올 상반기 자체 유료 방송에 탑재하고, 콘텐츠 제작 관련 AI 전문 조직도 신설한다. 2026년까지 5000억원을 투자해 유료 방송과 드라마 제작 등 미디어 사업에 AI를 적극적으로 접목, 그룹의 핵심 사업으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KT는 16일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KT 미디어 뉴 웨이(New Way)’ 전략을 밝혔다. 먼저 올 상반기 중 KT의 IPTV(인터넷 TV) 지니TV 셋톱박스에 MS와 함께 개발한 챗GPT 기반 미디어 특화 AI를 탑재한다.

시청자가 셋톱박스나 리모컨에 장착된 마이크를 통해 질문하면 AI가 인식해 최적의 콘텐츠를 빠르게 연결해준다. “요즘 군대를 배경으로 한 유쾌한 분위기의 드라마가 뭐였지?”라고 물으면 최근 방영을 시작한 드라마 ‘신병’의 최신 회차를 찾아 시청자가 볼 수 있게 해주는 식이다. 기존에도 IPTV에서 일부 제공하던 기능이지만, 새로운 AI는 시청자의 질문을 더 정확하게 인식하고 광고 등 다양한 외부 콘텐츠 관련 검색도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콘텐츠 제작에도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한다. AI 분석을 통해 드라마 흥행 여부를 예측하고, 음악이나 그래픽, 영상 편집 등에도 AI를 활용해 제작 효율을 끌어올리고 비용을 절감하는 식이다. 이를 위해 AI 콘텐츠 전문 조직인 ‘AI 스튜디오 랩’을 내부에 신설했다. 숏폼(길이 1분 내외 콘텐츠), 패스트(FAST·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채널) 등 기존에는 없었던 새로운 사업도 시작한다.

KT가 미디어 사업에 AI 투자를 강화하고 나선 것은 인구 감소와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득세로 유료 방송 성장이 둔화하고, 제작비는 가파르게 올라 수익성은 나빠졌기 때문이다.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은 “광고·VOD 중심의 기존 IPTV 사업 전략에 대한 의문점이 제기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AI를 활용한 새 먹거리를 찾고 제작 원가도 절감하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