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 LNG(액화천연가스) 프로젝트’에 대한 미국의 압박이 점점 강도를 더해가고 있다. 지난달 4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의회 연설에서 “한국·일본 등이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에 참여해 수조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면서 달갑지 않은 초대장을 내민 것이 본격적인 시작이었다. 앞서 지난 2월 워싱턴 DC를 찾아 조현동 주미 대사를 만났던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는 지난달 말엔 우리나라를 찾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을 만났다.
지난 8일엔 트럼프 대통령이 한덕수 권한대행과 통화 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한덕수 권한대행과 훌륭한 전화 통화를 했다”며 무역 불균형, 관세, 조선업, 방위비 분담금과 함께 미국산 LNG 구매, 알래스카 파이프 라인 사업 합작 투자를 관세 협상의 의제로 언급했다. 도대체 알래스카 LNG가 뭐기에 관세 협상에서 주요 의제로 다뤄지는지 전문가들의 분석을 바탕으로 3가지로 정리했다.
①돈도 벌고, 알래스카도 살리고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북부 가스전에서 시추한 천연가스를 파이프 라인으로 남부 니키스키까지 1300㎞ 옮긴 다음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대만 등 아시아 국가에 수출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가 440억달러(약 62조원)에 이르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본격적인 수출은 2031년부터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사업을 총괄하는 알래스카 가스 라인 개발(AGDC)이 밝힌 연간 추정 생산량은 2000만t, 단가를 MMBtu(열량 단위)당 10달러 수준으로만 잡아도 연간 매출은 100억달러에 달한다. 회사가 주장하는 MMBtu당 6.5달러 수준인 생산원가를 고려하면 13년 정도 이후부턴 수익이 나는 것이다. 투자비 증가, 사업 지연 등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계획대로만 된다면 ‘수지맞는 장사’인 것이다.
1970년대부터 알래스카 지역 경제를 먹여 살려온 원유 생산량이 급감하며 경제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지역 경제 살리기에도 매력적이다. 특히 앵커리지 등 남부 인구 밀집 지역에 천연가스를 공급하던 쿡 인렛 가스전이 조만간 고갈을 눈앞에 둔 가운데 새로운 가스 공급원을 확보하는 효과도 있다.
②북극권 전략의 핵심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북극권 패권 전략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덴마크령인 그린란드를 병합하려고 하고, 캐나다를 향해 51번째 주 편입을 제안하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알래스카 LNG는 이들만큼이나 중요한 알래스카 개발을 위한 핵심이라는 설명이다. 알래스카는 미국 본토(48주)의 4분의 1 크기로, 10만㎢인 대한민국의 17배에 이르는 넓은 영토다.
정용헌 전 아주대 교수는 “알래스카는 냉전 시대부터 대규모 군사 시설이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라며 “앞으로 중요성이 커지는 북극권 개발을 위해서도 LNG를 매개로 한 투자가 꼭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은 지난 9일 발표한 ‘미국의 해양 지배력 회복’ 행정명령에서 북극 항로 안보와 리더십을 보장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③에너지 패권 전략 뒷받침
트럼프 대통령의 ‘에너지 패권’ 전략을 뒷받침하는 한 축으로도 꼽힌다. 알래스카 프로젝트에서 한 해에 생산할 LNG 2000만t은 연 8000만~9000만t 규모인 최근 미국 LNG 수출량의 20%를 웃도는 규모다. 세계 최대 석유·가스 생산국이라는 지위를 활용, 에너지 수출을 확대하며 ‘에너지 패권’을 장악하겠다는 트럼프 정부로서는 본토의 셰일 가스가 유럽으로 수출을 늘리는 가운데, 알래스카산 LNG가 한국·일본·대만 등 동아시아에서 러시아산 LNG를 견제할 수 있다. 신현돈 인하대 교수는 “알래스카는 미국 전체 천연가스 중 18%가 묻혀 있지만, 생산 비율은 2%를 밑돈다”며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우리 입장에서는 수십조 원에 이르는 투자액, 건설 일정과 관련한 불확실성 등은 리스크로 꼽힌다. 가스관 사업은 초기 예상액에 비해 자금이 더 많이 드는 일은 흔하고, 기간이 길어지는 일도 많다. 장기 구매 계약을 했다가 수년이 지체되면 금전적인 손해는 물론, 도시가스와 발전 연료로 쓰이는 LNG 수급에도 충격이 올 수 있다. 한 정부 관계자는 “지금 단계에선 정보가 너무 부족하다”며 “투자나 구매 여부를 결정하기에는 아직 확인해야 할 요소들이 많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