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가 3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성명을 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세계 기축통화국인 미국의 기준금리는 5.00~5.25%가 됐다.
미 금리가 5%를 넘어서게 된 것은 금융위기 이전이었던 지난 2007년 이래 처음으로, 16년만에 최고치에 도달했다. 또 한국은행이 지난달 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한·미 금리 격차도 1.75%포인트로 역대 최대치로 벌어져, 자본 유출과 강(强)달러 지속 등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계속될 전망이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본격화된 뒤 지난해 3월부터 10회 연속 금리를 계속 인상, 이전 제로(0)금리를 1년2개월만에 5%포인트 넘게 끌어올렸다.
그간 고강도 긴축으로 한때 연 9%대를 넘었던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최근 5%까지 둔화되긴 했지만 연준의 정책 목표치(2%)에는 여전히 못 미치는 수준이다. 미 산업 전반에 구인난으로 인한 물가 상승 압박 요인도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지난 3월 고금리에 무너진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에 이어 은행 위기가 계속되고 경기 침체 우려가 대두되면서, 연준은 긴축 속도를 최소폭(0.25%포인트)인 ‘베이비스텝’으로 줄인 상태다.
연준이 긴축 행진의 출구전략을 마련하고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연준은 바로 직전인 지난 3월 FOMC 결과 성명에서 “인플레 대응을 위해 몇 번의 추가적 긴축 정책(additional policy firming)이 적절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번 성명에선 ‘몇 번의(some)’란 말을 뺀 채 “추가 긴축 정책의 적절한 정도를 결정하는 데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겠다”는 표현으로 바뀌었다.
시장이 이런 문구 변화를 ‘금리 인상이 곧 중단될 것’이란 신호로 받아들이면서 뉴욕증시는 상승세로 전환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연준이 미 경제 경착륙을 막기 위해 이르면 내달 금리 인상을 종료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