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발표한 가운데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테슬라가 최대 수혜자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6일 뉴욕타임스는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테슬라가 트럼프 대통령의 25% 자동차 관세 정책의 최대 수혜자로 부상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외국에서 만든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엔진 등 주요 자동차 부품들도 최대 1달의 유예를 거쳐 25% 관세가 부과된다. 관세는 내달 2일부터 발효돼 같은 달 3일 0시 1분부터 징수될 예정이다.
테슬라는 미국 내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공장에서 판매 차량을 전량 생산해 완성차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며, 수입 부품에 대한 관세로 인해 일정 부분 생산 비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매체는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결정과 관련해 “(일론 머스크가) 어떤 부탁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테슬라의 모델Y와 모델3는 지난해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종이다. 그러나 최근 제너럴모터스의 쉐보레 이쿼녹스EV와 포드의 머스탱 마하-E에 시장점유율을 일부 잃고 있다. 두 경쟁 차종은 멕시코에서 생산되며 수입 부품 비율이 높아 관세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매체는 전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기준을 준수한 부품에 대해서는 당분간 관세 부과를 면제할 계획이어서 구체적인 영향은 불확실하다고 전했다.
테슬라를 비롯한 모든 자동차 업계는 모터, 배터리, 원자재 및 기타 부품을 수입하고 있다. 관세가 부과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생산 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업계 전문가들은 관세로 인한 공급망 혼란이 생산 감축과 고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번스타인의 분석에 따르면 25% 관세로 인해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연간 비용이 최대 750억달러(약 110조원)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결국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한국에서 생산되는 쉐보레 트랙스 같은 저가 모델은 중산층 구매자들이 접근하기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매체는 전망했다.
픽업트럭 시장에서는 포드자동차가 상대적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인다. 포드는 F시리즈 픽업을 미국 내 여러 공장에서 생산한다. 반면 도요타, 제너럴모터스, 스텔란티스의 램은 멕시코에서 상당수 픽업트럭을 생산하고 있다.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대부분 미국 내 생산 기지를 보유하고 있다. BMW는 사우스캐롤라이나, 도요타는 켄터키, 닛산은 테네시, 메르세데스벤츠는 앨라배마, 혼다는 인디애나와 오하이오에서 차량을 생산한다.
현대자동차는 조지아주에 신규 전기차 공장을 준공했으며 앨라배마에서도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자동차를 포함해 도요타, 독일 자동차 제조사들은 여전히 아시아와 유럽에서 수십만 대의 차량을 수입하고 있어 25% 관세 영향을 피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