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21일부터 열흘간 국민제안 홈페이지에서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를 온라인 국민투표에 부치고 그 결과를 가급적 국정에 반영하겠다고 밝히면서 대형마트 기업들이 반색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번 투표를 계기로 10년을 이어온 대형마트 의무휴업이 폐지된다면 향후 대형마트 성장률이 현재의 2~3배까지 뛰어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휴일 매출액은 업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략 300억~400억원 정도 된다”면서 “월 2회 의무휴업이 사라지고 주말에 계속 영업할 수 있다면 한 업체당 매출이 7000억~1조원까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기대심리는 주가에도 반영됐다. 21일 이마트 주가는 전날보다 3.62% 오른 11만4500원에, 롯데쇼핑은 1.5% 오른 9만4600원으로 마감했다. 20일에도 이마트와 롯데쇼핑은 전날보다 각각 8.82%, 4.13% 올랐다.

◇10년 묵은 마트 의무휴업…사라질 수 있을까

대통령실은 윤석열 정부의 소통창구 ‘국민제안’에 접수된 1만2000여 건의 민원, 제안, 청원 가운데 정책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10개를 선정해 지난 20일 발표했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 여부가 여기에 포함됐다. 21일부터 열흘 동안 투표를 진행해 득표 상위 3개 제안이 확정되면, 국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선정된 상위 제안은 국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고 국민께도 보고드리겠다”고 말했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는 21일 오후 6시까지 1만2508표를 받아 ‘9900원 K-교통패스(가칭) 도입’(8356표)와 ‘반려견 물림 사고 견주 처벌 강화 및 안락사’(8330표)에 앞서 압도적 1위를 기록 중이다. 이 같은 득표 추세라면 국정에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다만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는 법 개정 사안이라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선 대형마트에 도입한 의무휴업제를 백화점과 스타필드·롯데몰 같은 복합쇼핑몰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자는 목소리도 있어서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역차별 끝나야” 對 “골목상권 무너진다”

유통기업 관계자들은 의무휴업 규제가 사라진다면 지역 상권과 농가도 같이 살아날 것이라고 말한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대형마트 3사의 격주 휴무로 연간 3조2100억원의 매출이 증발한다”면서 “대형마트가 쉬면 손님들이 전통시장으로 가지 않고 오히려 온라인으로 쏠렸다는 건 이제 모두가 아는 사실 아니냐”고 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의무 휴업 규제가 도입된 2012년 소매업 총매출에서 14.5%를 차지했던 대형마트 비율은 지난해 8.6%로 줄었다. 하지만 전통시장이 포함된 전문소매점의 비율도 40.7%에서 32.2%로 줄었다. 반면 온라인·홈쇼핑 같은 무점포소매업은 13.8%에서 28.1%로 배 이상 늘었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를 반대해온 소상공인연합회와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는 19일 “유통 대기업의 사업 범위가 확장된다면 골목상권은 또다시 무너져 내릴 것”이라며 “대형마트 휴무일 온라인 배송 추진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