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올리브영은 지난해 100억 원 이상의 연 매출을 기록한 입점 브랜드 수가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중 절반 이상이 국내 중소기업 브랜드였다.
CJ올리브영은 2020년 대비 국내 중소기업 브랜드의 비중이 39%에서 51%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2020년 매출 상위 10대 브랜드 중 국내 중소 브랜드는 4개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넘버즈인·닥터지·라운드랩·롬앤·메디힐·클리오·토리든 등 7개 브랜드가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클리오와 라운드랩은 올리브영에서 처음으로 연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했다.
기초화장품 분야에서는 리쥬란과 메디필이 새롭게 매출 100억 원을 넘어섰고, 색조 화장품에서는 코스노리와 퓌가 목록에 추가됐다. 남성용 브랜드 오브제와 관리 용품(바디워시 등) 분야에서는 힐링버드가 새롭게 100억 원 매출 브랜드가 됐다.
이러한 성장은 K뷰티의 전 세계적인 인기와 내수 시장의 활성화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올리브영은 최근 국내 화장품 브랜드의 발전과 해외 진출을 위해 올해부터 3년간 총 3000억원 가량을 투입하는 상생경영안을 시행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새로운 브랜드와 상품의 기획부터 연구개발(R&D), 영업·마케팅 등 전 과정을 단계별로 지원해 신진 브랜드 발굴부터 해외 진출까지 돕는다는 것이다.
[조선일보와 미디어DX가 공동 개발한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