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와 이탈리아, 태국은 해마다 각각 1400만명, 5300만명, 2800만명씩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하지만 이들 나라도 ‘바가지 관광 대국’의 오명을 벗기 위해 국가 차원의 총력전을 펼치며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벌금형 같은 규제와 가격 상한제, 인센티브 제도 등을 운영하는 방식이었다.
싱가포르 정부는 일부 택시 운전사들이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가격을 임의대로 더 받는 일이 생기자, 2017년 이를 막기 위해 불법으로 택시 요금을 부과하는 경우에 외국인 관광객들은 24시간 상담 창구를 통해 신고할 수 있게 했다. 신고하면 교통부가 곧바로 조사를 나와 해당 기사에게 과태료를 물렸다. 가령 작년 싱가포르 교통국은 2023년 9~12월 동안 20달러가 채 안 되는 요금을 관광객에게 더 받은 택시 기사 7명을 체포, 이들에게 100~500달러가량의 벌금을 물리기도 했다.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경우엔 코로나 직전까지만 해도 곤돌라 요금이 부르는 게 값이어서 논란을 빚자 중앙정부가 가격 상한제를 도입했다. 베네치아에선 곤돌라 한 대당 30분에 80유로, 오후 7시부터는 100유로까지만 받도록 정해 놓았다. 한 대당 받는 가격으로, 3~4명이 타도 값을 더 받을 수 없다. 관광객에 대해 과도한 가격을 부과하는 식당에 대해선 또한 24시간 신고 제도를 운영한다. 이탈리아 관광청 한국 사무소 관계자는 “지난 2018년 베네치아의 한 식당이 일본인 관광객 4명에게 스테이크 4접시, 생선구이 1접시를 1100유로(약 159만원)에 팔아 사회 문제가 된 적이 있다”면서 “이후 이탈리아 중앙정부는 24시간 신고제를 운영하고, 식당 음식 가격을 속이는 가게는 영업정지 및 벌금 처벌 등을 부과하고 있다”고 했다.
태국 방콕 시청(BMA)의 경우엔 가격 정찰체를 잘 지키는 툭툭(현지 인력거) 등의 운전사에게만 인증 스티커를 부여한다. 또한 가격을 속인 옷 가게나 식당은 최소 일주일에서 최대 한 달까지 영업정지 명령을 내린다. 태국 관광청 관계자는 “코로나 직전까지 태국에서도 각종 바가지 사건이 논란을 빚자 정부가 강력 처벌에 나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