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택 보유자의 종합부동산세 부담이 지난 9일 대선의 승패를 가른 서울 표심(票心)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석열 당선인은 서울 25구(區) 중 14곳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보다 많은 표를 얻었다. 이 중 동대문구를 제외한 13곳이 공시가격 11억원이 넘는 아파트가 많은 상위 13곳과 일치했다. 공시가격 11억원은 1주택자에게 종부세가 부과되는 기준이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 연합뉴스

11일 중앙선관위 집계에 따르면, 서울에서 윤 당선인의 득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남구(67%), 서초구(65.1%), 송파구(56.8%), 용산구(56.4%) 순이었다. 작년 기준 서울에서 공시가격 11억원 이상 아파트가 많은 상위 4곳도 강남구(8만2122가구), 서초구(6만2728가구), 송파구(5만5064가구), 용산구(1만5894가구) 순이다.

종부세 부과 대상 아파트가 다섯째로 많은 양천구(1만5806가구)부터 13위 중구(785가구)까지 모든 지역에서 윤 당선인의 득표율이 우세했다. 다만 14위 서대문구(682가구)는 윤 당선인이 근소한 열세였고, 18위(56가구) 동대문구에선 윤 당선인이 승리했다.

윤 당선인 득표율이 가장 낮았던 강북구(43.8%·0가구), 금천구(44.5%·0가구), 은평구(44.6%·9가구), 관악구(45.1%·0가구) 등은 종부세 부과 대상 아파트가 거의 없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최근 수년 사이 공시가격이 급등해 재산세는 물론 종부세 부담까지 가중된 1주택자의 불만이 투표 결과로 반영된 것”이라고 해석한다. 작년 서울 아파트 공시가격은 전년 대비 19.9%나 올랐고, 강남은 물론 강북 지역에서도 새로 종부세를 내게 된 1주택자가 대폭 늘었다. 김광석 리얼하우스 대표는 “실현되지 않은 시세 차익에 대해 1주택자까지 과도한 세금을 물리는 상황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