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추가 ‘빅스텝’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미국 주택시장에서도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의 후폭풍이 나타나고 있다. 금리 인상으로 주택 거래량이 크게 줄면서 부동산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에선 작년 말부터 심해진 ‘거래 절벽’이 장기화할 조짐이 보여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24일 미국 NAR(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에 따르면, 4월 미국 내 기존 주택 판매는 한 달 전보다 2.4% 줄어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달 기준 연간 환산 주택 거래량이 561만건으로 코로나 사태 초기인 2020년 6월 이후 최저치로 집계됐다.
미국에선 집을 사려는 수요보다 턱없이 부족한 주택 공급 때문에 지난해 집값이 가파르게 올랐다. 아직 집값 상승세가 유지되지만, 올 들어 금리가 급등하면서 거래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모기지은행협회가 집계하는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달 18일 기준 5.49%로 작년 12월 말(3.27%)과 비교하면 2%포인트 이상 올랐다. 로렌스 윈 NAR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높은 집값과 급격히 오른 모기지 금리가 주택 구매자들을 위축시켰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도 정부의 대출 관리와 금리 인상 여파로 주택 거래가 급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1~4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4935건으로 작년 1~4월 거래량(1만7028건)의 3분의 1도 안 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올 들어 집값 상승세가 주춤한 것도 시장이 안정세에 접어들었다기보다는 거래가 비정상적으로 줄고 양극화만 심해진 것”이라고 분석한다. 서민층은 대출이 무서워 집을 살 수가 없고, 소수의 현금 부자들만 집을 사서 비싼 집의 가격만 더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김광석 리얼하우스 대표는 “정부의 금리 관리가 집값 거품을 없애고 시장을 정상화시키려면 주택 공급이 늘어나면서 거래가 활성화돼야 한다”며 “주택 공급 대책과 더불어 실수요자에 대한 대출 규제도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