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한국은행의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이후 시중금리가 치솟으면서 부동산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2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5.7로 지난주(86.4)보다 0.7포인트 내리며 11주 연속 하락했다. 이는 2019년 7월 15일(85.6) 이후 약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이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로, 기준치인 100보다 아래로 내려갈 수록 집을 팔 사람이 살 사람보다 많다는 의미다.

권역별로 보면 은평·서대문·마포구가 있는 서북권의 수급지수가 지난주(79.3)보다 0.2포인트 하락한 79.1을 기록, 서울 5대 권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노원·도봉·강북 등이 포함된 동북권은 1.1포인트 내린 80.3, 용산·종로·중구 등이 속한 도심권은 1.5포인트 내린 83.2, 영등포·양천·강서 등이 속한 서남권은 0.7포인트 하락한 90.0을 기록했다. 강남3구가 포함된 동남권만 유일하게 지난주와 같은 91.9를 유지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지난주보다 0.9포인트 내린 88.5를 기록했다. 수도권 역시 2019년 7월29일(88.4) 이후 약 3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경기는 90.5에서 90.0으로 하락했고, 인천은 91.6에서 88.5로 3.1포인트나 내렸다.

한편, 최근 금리 인상 여파로 전셋값도 약세를 보이면서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도 지난주(94.0)보다 1.5포인트 하락한 92.5를 기록했다. 전세를 구하려는 세입자보다 전세를 내놓는 집주인이 많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