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주택 보급률이 4년 연속 하락해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빈집이 많은 경남과 경북 등 일부 도(道) 지역을 제외하고는 4년 연속 주택 보급률이 하락한 것은 서울이 유일하다. 서울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커지면서 서울과 지방의 집값 양극화가 더 심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통계청의 신(新) 주택 보급률 통계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서울 주택 보급률은 93.6%로 전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2019년 96.0%에서 4년 연속 하락한 것으로, 2009년(93.1%) 이후 14년 만에 최저치다. 주택 보급률은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해 산출한 값으로, 주택 재고가 충분한지 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주택 보급률이 93.6%라는 것은 전체 가구가 100가구라면 주택은 그보다 적은 93.6가구가 있다는 뜻이다. 2023년 말 기준 서울 가구 수는 414만1700가구인데 주택 수는 387만8500가구로, 가구 수보다 주택 수가 26만3000여가구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과 지방의 경우 전년보다 주택 보급률이 상승해 2023년 전국 주택 보급률은 102.5%로 1년 새 0.4%포인트 올랐다. 경기(99.3%)와 인천(99.1%)은 각각 0.7%포인트, 1.2%포인트씩 상승했고, 지방(107.7%)도 0.2%포인트 올랐다.

서울 주택 보급률이 4년 연속 하락한 것은 신규 주택 공급 속도가 둔화되며 가구 수 분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했기 때문이다. 1·2인 가구가 늘면서 서울 가구 수는 2020년 398만2290가구에서 2023년 414만1700가구로 15만9410가구 늘었다. 반면, 2023년 서울의 주택 준공(입주)은 4만1218가구로 2009년(3만5390가구) 이후 14년 만에 가장 적었으며, 2020년(8만1406가구)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경기·인천의 경우 대규모 택지 공급을 통해 어느 정도 가구 수 증가세를 따라가고 있지만, 서울은 재개발·재건축 외엔 주택 공급이 어려운데 공사비 상승 등의 여파로 속도를 내지 못해 주택 보급률이 계속해서 하락하는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