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평형 아파트(전용면적 49㎡)에 방 3개와 화장실 2개, 주방과 거실에 다용도실까지 있다. 오는 6월 입주 예정인 서울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는 일반 분양 물량(162가구) 중 66%(107가구)를 이런 설계의 전용 49㎡로 구성했다. ‘주력 상품’이란 얘기다.

과거 ‘방 3개, 화장실 2개’ 아파트의 전형은 ‘국민 평형’이라 불리는 전용 84㎡(34평형)였다. 방 크기를 줄여도 전용 59㎡(25평형)가 ‘마지노선’이라고 했는데, 이젠 더 작은 전용 49㎡에도 적용된다. 방 2개짜리 전용 49㎡ 아파트와 비교하면 방이나 거실 크기가 대폭 작아지는데도 왜 이런 설계를 적용한 것일까.

메이플자이 시공사인 GS건설 관계자는 “최근 대세가 된 1~2인 가구의 주거 수요를 분석하니 크기가 작아도 방이 여러 개 있는 것을 더 선호한다”면서 “남는 방을 드레스룸이나 서재로 꾸미고 싶은 수요를 겨냥해 새로운 설계를 시도했고, 큰 인기를 끌었다”고 했다. 실제로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국내 1인 가구 중 방이 2개 이상 있는 집에서 거주하는 비율은 2000년에 12.2%였지만, 2020년엔 34.3%로 3배 가까이 급증했다. 혼자 살아도 방을 2개 이상 원하는 수요자가 많다는 트렌드를 포착해 아파트 설계도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픽=김현국

◇공간 활용 극대화에 달라지는 평면

최근 건설사들은 ‘공간 활용’에 예민한 수요자들을 위해 갖가지 아이디어를 짜낸다. 집 안 자투리 공간을 수납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도입된 ‘알파룸’은 최근 들어 방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크기가 커지는 추세다. 알파룸을 베타룸, 오메가룸 같은 이름으로 복제해 2~3개 제공하는 아파트도 있다. 팬트리(식용·잡화 창고)나 드레스룸도 이제는 없는 게 이상한 ‘기본 옵션’ 취급을 받는다. 현관문을 2개 두고, 거실도 2개를 배치하는 ‘세대 분리’ 아파트도 과거엔 40평 이상 중대형 아파트에서나 볼 수 있었지만, 최근엔 20평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아파트 수요자들이 방처럼 구분되는 독립 공간 수에 민감한 것을 두고 전문가들은 “가구원 취향에 따라 선택 가능한 옵션을 다양하게 갖고 싶어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한 설계사무소 관계자는 “코로나 팬데믹 때 자가 격리를 경험하면서 식구 수만큼 방이 필요한 것은 기본이고, 남는 방을 서재나 취미용 공간으로 꾸미려는 수요가 많다”고 했다.

방이 여러 개 있는 것이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깔끔하다며 선호하는 사람도 많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안방에 붙박이장처럼 옷장을 넣는 것보다 별도의 방을 드레스룸으로 꾸미는 걸 훨씬 좋아하기 때문에 아파트 설계에도 반영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래픽=김현국

◇가족끼리도 독립, 채광보단 전망

가족끼리도 독립성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하면서 생활공간을 ‘분리’하는 신형 평면 설계가 계속 나오고 있다. HDC현대산업개발이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서 짓는 ‘서울원 아이파크’ 전용 84㎡ 일부 주택형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복도가 설계됐다. 현관과 이어진 복도를 따라 차례로 방과 거실을 배치한 구조다. 현관에 들어서면 바로 확 트인 거실을 볼 수 있는 실내 구조와 다른 시도를 한 것이다.

지난해 포스코이앤씨가 개발한 실내 평면 중에는 부부간 수면 방해를 예방하는 아파트도 있다. 맞벌이 부부끼리 취침·기상 시간이 다른 경우를 고려해 안방에서 잠자는 공간과 아닌 공간을 문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했다. 화장실과 욕실을 부스로 구분하지 않고, 아예 벽으로 분리한 아파트도 있다. 가족끼리도 불편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했다는 설명이다.

아파트 선택 시 조망권을 중시하는 경향 때문에 과거엔 ‘금기’였던 북향(北向) 아파트도 이제는 흔하다. 최근 한강 이남에서 재개발·재건축되는 강변을 낀 아파트는 북향을 선택하는 곳이 절대다수다. 업체 관계자는 “남향으로 해가 잘 드는 것보다 한강이 보이느냐 여부가 집값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설계에 반영한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