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운데 실거래 가격이 9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 거래 비중이 처음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매매 5만6863건 중 9억원을 초과한 매매가 3만583건으로 집계돼 전체의 53.8%를 기록했다.
정부가 실거래가 신고를 의무화한 2006년 이후 9억원 초과 거래가 절반을 넘은 건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서울 아파트값은 전체적으로 상승세가 계속되고, 특히 강남 3구를 중심으로 똘똘한 한 채를 선호하는 현상이 짙어지는 등 고가 아파트 거래가 매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9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2018년 16.6%, 2019년 28.5%, 2020년 31.6%로 매해 높아졌다. 특히 아파트 값이 급등한 2021년엔 44.3%까지 늘었다가 2022년 고금리 여파로 38.8%로 소폭하락 했으나 2023년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46.5%로 반등했고 지난해 절반을 넘어선 것이다.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은 KB국민은행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이 2018년 말 기준 8억4502만원에서 작년 말 9억8333만원으로 올랐고, 평균 매매가는 8억1595만원에서 12억7274만원으로 급등했다. 반면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2018년 전체 60.9%에서 지난해 역대 최저 수준인 20.7%로 크게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