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서초·강남구에서 거래된 아파트 평균 가격은 25억원, 도봉구는 5억원으로 아파트값 격차가 5배 가까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에서 제출받은 ‘2024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매매된 서울 서초구 아파트의 평균 실거래가는 25억1800만원으로 서울 25개구 중 가장 높았다. 서초구 다음으로는 강남구 아파트의 평균 실거래가가 24억8300만원으로 높았고, 용산구가 22억57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서초구와 강남구는 지난해 9월 대출 규제가 본격화한 이후에도 실거래가가 크게 내리지 않았다. 서초구 아파트 실거래가 평균은 지난해 1월 21억3600만원에서 8월 27억2500만원까지 올랐다. 9~11월에는 25억원대로 내려왔으나 12월 평균 실거래가는 다시 27억5900만원으로 상승했다. 강남구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 역시 지난해 8월 26억9300만원에서 9월 25억2200만원으로 하락했다가 10월에 26억원대를 회복했다. 서초·강남·용산 다음으로 지난해 평균 실거래가가 높은 곳은 송파구(16억7500만원), 성동구(14억1700만원), 마포구(12억9100만원)로 집계됐다.
반면, 도봉구의 경우 평균 실거래가가 5억5400만원에 그쳐 서초구와 4.6배 차이났다. 강북구(6억700만원), 노원구(6억1000만원), 금천구(6억2100만원), 중랑구(6억2800만원), 구로구(6억7300만원) 등도 평균 실거래가가 10억원을 밑돌았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지난해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몰리고, 강남 불패 심리가 작동하면서 강남권과 용산 아파트 가격은 상대적으로 덜 빠졌다”며 “자산과 소득 양극화와 지역 양극화를 유발하고 있다”고 했다.